내 친구 현수의 옛날 집 주소는 부산 중구 부평동 1가 1번지 1통1반. 30년이 지난 지금도 잊지 않는 이유는 숫자의 마력 때문이리라. 주소가 재밌어 위치를 물었더니 그는 부평동시장 입구라고 했다. 감이 안 잡힌 친구들이 재차 묻자 그는 잠시 머뭇거리더니 국제시장 근처라고 했다. 그제야 친구들은 고개를 끄덕였다.

 초등학생 시절 기자는 어머니의 손에 이끌려 부평시장엘 이따금 갔다. 당시 어머니는 이곳을 사거리시장이라 했던 것으로 기억된다. 버스 타는 재미와 함께 맛있는 것을 먹을 수 있었기에 마다할 이유가 없었다. 사실 전통시장이 겉으론 오십보백보지만 이곳을 떠올리면 그래도 오롯이 기억에 남는 곳이 한 곳 있다. 바로 깡통골목이다. 정말 신기했다. 지금과 달리 점포는 좁았지만 진열된 물건들이 죄다 영어나 일어로 적혀 있었다. 지금은 지천으로 널린 캔 콜라나 바나나도 이곳 아니면 살 수 없는 시기였다. 운이 좋아 그날 미제 단추초콜릿이라도 하나 얻었을 땐 얼마나 기뻤던지.

깡통시장.

온통 외제물건이다.

 
 부평시장은 1910년 부산에 가장 먼저 들어선 전통시장이다. 전국에선 두 번째라 당시 제2호 시장이라 불렸다. 한일병합 직후 일본은 그들의 생활근거지 주변이었던 중구 부평동에 생필품 시장을 한일합작으로 열었다. 그게 부평시장의 시초였다. 5년 뒤엔 부평정(町)시장으로 개명해 시설도 확충했다. 참고로 부산진시장은 1914년, 부전시장은 1941년에야 생겼다. 국제시장은 해방 직후 일본인들이 철수하면서 비축 전시물자를 한꺼번에 내놓으며 형성된 일종의 '도떼기시장'이다.

 아직도 적지 않은 사람들은 부평시장을 부평동시장이나  깡통시장 혹은 사거리시장이라 부른다. 이는 그나마 사정이 좀 나은 편. 일부는 길 하나 사이에 두고 위치한 국제시장의 일부라고 생각한다.

 알고 보니 그렇게 된 연유가 있었다. 부평시장은 비록 부산 최초의 전통시장이나 등록일을 기준으로 보면 막내다. 2005년 10월에야 부평동 1가의 깡통시장과 먹을거리 위주의 2가의 사거리시장을 합쳐 부평시장으로 중구청에 정식 등록했기 때문이다. '부평동시장'이 아닌 '부평시장'이라고 '동(洞)' 자를 뺀 것은 동네시장 이미지를 없애기 위함이란다.


 부평시장 상인회 김종열 회장은 "역설적이게도 상인들이 번영회나 상인회를 만들어 이름을 널리 알릴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을 정도로 오랫동안 장사가 잘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예전만 못하지만 지금도 목 좋은 점포의 권리금은 억대를 호가한다.
 "부평시장은 제수용 과일이나 생선도 최상품만 팔았어요. 콩나물도 다듬어 팔았으니까요. 주 고객이 옛 법원 주변의 수준 높은 손님이었거든요. 사정이 이렇다 보니 시장을 찾는 고객의 객단가도 백화점의 그것과 맞먹었어요."
 
 부평시장을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점이 또 하나 있다. 바로 먹을거리, 맛집이다.

 주요 품목이 어묵 해산물 육고기류 청과물 등 생필품 위주다 보니 이곳 아니면 먹을 수 없는, 부산만의 독특한 먹을거리가 적지 않다. 비빔당면 유부전골 냉채족발이 그렇고 돼지국밥과 죽집은 부산서 가장 오래됐다. 어묵과 선식은 이곳이 전국 원조이고 치킨집은 떠오르는 신흥 강호이다. '길거리아' 단팥죽은 사시사철 맛볼 수 있다. 고객의 상당수가 사실은 이런 먹을거리 때문에 찾는다고 고백할 정도다. 통상 다른 전통시장에서 유명 맛집은 많아야 두세 곳에 불과하지만 부평시장은 열 손가락을 꼽아도 모자란다. 이쯤 되면 가히 '맛집 천국'이라 불러도 되지 않을까. 그래서 부평시장으로 달려가 숨은 맛집을 둘러봤다.

           부산 부평시장이 원조인 비빔당면. 보는 거와 달리 아주 맛있다.
           당면과 갖은 야채를 넣고 미나리로 싼 유부전골. 역시 부평시장이 원조다.

          인근 부평동 족발골목의 냉채족발보다 훨씬 맛있고 가격은 절반인 부평시장의 냉채족발.


- 부평시장 맛집 관련 글
부평시장 (2)편 "뜨끈뜨끈한 부평시장통 인심 한 그릇 하시구려" http://hung.kookje.co.kr/54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