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5 참전용사의 한국 사랑

<4>미주리 주 리퍼블릭- 덴질 밧슨

- 징집 자랑스럽게 여기면서 참전 / 빗발친 포탄·총알 속 치열한 교전
- 고왕산 전투는 아직도 기억 생생 / 전역 후 한국전쟁 관련 책 저술
- 참전용사 필독서·대학수업 교재로 /  다큐멘터리로 제작돼 TV 방영도

- 함께 싸웠던 대원 하나 둘씩 타계 /  이젠 30명 중 7명 남아 가슴 아파
- 건강 회복하면 꼭 한국 찾아갈 것


한국전 참전용사 덴질 밧슨 씨 부부가 지난달 중순 자신이 사는 미주리 주의 소도시 리퍼블릭의 집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날은 북극한파의 영향으로 몹시 추웠고 눈도 많이 왔다.

 목숨 걸고 싸운 2300여 전우들이 잠들어 있는 성지, 유엔기념공원이 있는 부산에서 한국전쟁 참전용사를 만나러 왔다는 말에 그는 감정이 북받치는 듯 잠시 말을 잇지 못했다. 한눈에 봐도 전형적인 마음씨 좋은 백인 할아버지인 그는 눈물을 글썽이며 악수 대신 기자를 안아주었다.

 매서운 한파가 몰아치던 지난달 15일 미국 미주리 주의 소도시 리퍼블릭에서 만난 한국전쟁 참전용사 덴질 밧슨(86) 씨. 유난히 큰 목젖에 움푹 팬 주름이 세월의 더께를 말해주고 있었지만 이날을 위해 그는 최상의 컨디션을 만들었다고 했다.


 사실 그는 건강이 좋지 못했다. 6년 전 그는 폐암수술을 했다. 다행히 초기에 발견돼 완치됐지만 3, 4년 전부턴 신장염과 관절염이 도져 고생꽤나 했다고 동행한 그의 부인 에바 밧슨이 귀띔했다. 

 고교 동기로 한국전쟁 참전 3개월 전 결혼했다는 그는 3년 전 그토록 그리던 한국 방문의 기회가 있었지만 다리가 아파 포기했다. 하지만 그는 꿈을 접지 않았다. 다시 찾아올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지금도 건강회복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군 제대 후 지역 언론사에서 기자로 17년간 근무했다는 그는 1999년 'Korea, We Called it War'라는 책을 냈다. 1951년 9월부터 1952년 9월까지 참전한 밧슨 씨가 전장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기술한 책이다. 초판 이후 제법 팔려 2003년 네 번째 개정판을 냈다.

 책을 쓰게 된 계기는 전역 후 미국 정부의 한국전쟁 폄하 때문. 귀국할 때 환영은 둘째 치고 4만 명에 가까운 미국 젊은이가 죽고, 10만 명 이상이 부상을 당했고, 8000명 이상이 행방불명됐고, 7000명 이상이 포로로 잡혔지만 정부에선 '치안 활동' 내지 '내전' 정도로 치부하는 것에 실망을 느껴 그것이 '전쟁'이었음을 알리고 싶었다.

 코리아 입장에선 승자도 패자도 없는 동족상잔의 참혹한 전란이겠지만 한국전쟁은 당시 세계 각지에서 들불처럼 타올랐던 공산주의 팽창을 꺾어버리는 시발점이 된 의미있는 전쟁이었다는 것이 밧슨 씨의 생각이었다. 한국전쟁의 실상과 의미를 미국인들에게 제대로 알려야겠다는 일종의 의무감이었다.

 미 해병 3사단 15연대 F중대 2소대의 하사로 참전한 그의 책에는 지휘관이나 그들의 전략·전술이 주 내용이 아니라 총알이 빗발치는 전선에서 목숨을 걸고 싸운 동료 군인들의 실제 모습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2년 전 리퍼블릭에서 함께한 당시 소대원들.       

                  6·25 전쟁 당시 전우들과 함께한 덴질 밧슨(왼쪽) 하사. 

 "'리틀 지브롤터(경기도 연천군 고왕산)' 고지를 차지하기 위한 이틀간의 악몽 같은 전투는 평생 잊지 못할 최악의 전투였다. 60도나 되는 가파른 경사, 우레 같은 포탄소리, 청천벽력 같은 전우의 죽음, 부상병들의 고통스런 절규, 고지를 향해 오르는 도중엔 죽음의 속삭임까지 들렸다. 눈을 감으면 지금도 문득 이 장면이 파노라마처럼 스쳐간다."

 일개 참전용사의 20달러 짜리의 단행본은 입소문을 타고 차츰 미국 전역 참전용사들의 필독서가 됐다. 지역 방송에선 수년 전 이 책을 토대로 55분짜리 다큐멘터리를 제작, 문화·교육 공영방송인 PBS를 통해 미 전역에 방영됐다. 이 다큐의 감독 존 길버트의 부친 또한 한국전 참전용사였다.

 정확한 팩트에 문체마저 깔끔한 이 책은 이후 미주리주립대학의 미국 전쟁사 관련 역사 수업의 교재로도 채택됐다. 교양학부 줄리 존슨 교수는 "전쟁사 수업 교재로 굉장히 값어치있게 생각한다"고 평했다. 존슨 교수는 이후 책 저자 밧슨 씨와 당시 동료 2소대원들을 초청,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

 밧슨 씨는 "나의 졸저로 인해 미국인들 나아가 미국사회가 한국전쟁의 실상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게 돼 작은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에서 이 책이 번역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단, 한국어로 책이 나왔을 경우 자신에게 한 권만 우편으로 보내면 된다고 덧붙였다.

 한국전쟁 당시 미국 대통령은 해리 트루먼. 트루먼 대통령의 고향이 미주리 주여서 당시 이곳 젊은이들은 '트루먼 보이'(Truman Boy)라 불리며 징집된 사실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참전했다. 미주리 출신인 그도 예외는 아니었다. 당시 밧슨 씨는 사실 코리아가 어디 있는지, 전쟁이 어느 정도 지속될 지는 몰랐지만 그의 피앙새 에바는 참전을 반대하지 않았다.

 그는 임진강 하구를 비롯 리틀 지브롤터, 피의 능선, 단장 능선 등 서부 및 중부전선에서 싸웠다. 중공군들에 대한 호의적인 언급은 뜻밖이었다. 미군들은 중공군이 더 센줄 알았지만 그들은 악착같이 싸우지 않아 모두들 인민군 대신 중공군과 싸우기를 바랐다. 중공군들은 또 아군이 부상당했을 때 백기를 흔들며 사인을 보내면 데리고 갈 시간은 주었다. 반면 인민군은 한겨울에 발가벗겨 나무에 묶어놓고 30분마다 찬물을 뿌려 동사시키는 야만적인 행태를 보였다. 그 생각만 하면 6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치가 떨린다고 했다.

 밧슨 씨는 요즘 전우들을 생각하면 착찹한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전쟁 때 함께 싸웠던 2소대 30명의 전우 중 지금은 7명밖에 남지 않았다. 19년째 매년 모였지만 이제 그 모임의 종착역은 머지 않았다. 전우들의 건강이 차츰 악화되고 있어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외출이 불가능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슬하에 1남 1녀의 자식과 8명의 손자(3명) 증손자(5명)를 두고 있는 밧슨 씨는 "만일 60여 년 전으로 돌아가 같은 상황에 직면해도 참전해 싸울 것"이라며 "당시 1년간 참전한 그 시기가 내 인생의 황금기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폐허에서 다시 일어난 코리아와 코리안들을 존경한다는 말도 잊지 않았다. 


# 美 미주리주 한국전쟁 기념물·기념시설 속속 등장

- 당시 대통령이었던 트루먼 고향 /  참전용사비·평화의 마을 등 조성


 지난해 11월 11일 '미주리 재향군인 묘지'에 세운 한국전참전용사비 제막식 때 이를 주도한 풀라스키 카운티 엄경숙

 한인인 회장(왼쪽). 오른쪽은 한 달 뒤 엄경숙 회장이 취재팀과 함께한 모습.

 지난해 11월 11일 '미주리 재향군인 묘지'에 세운 한국전참전용사비와 이를 주도한 풀라스키 카운티 엄경숙 한인회 회장.

6·25전쟁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해리 트루먼의 고향인 미주리 주에도 한국전쟁을 떠올리게 하는 기념물과 시설들이 늦었지만 속속 들어서고 있다. 

 우선 한국전참전용사비. 미국 국경일의 하나인 지난해 11월 11일 재향군인의 날, 미주리 주 풀라스키 카운티 한인회(회장 엄경숙)는 카운티 내 포트 레오나르도 우드시의 '미주리 재향군인묘지'에 한국전참전용사비를 세웠다. 

 한인회는 지난해 초 숙원사업이었던 참전용사비 건립을 확정짓고 교통이 편리한 이곳에 한국전참전용사비를 세웠다. 높이 1.8m, 폭 1.2m의 1.6t의 화강암 참전용사비에는 미주리 주 62개 카운티 출신의 참전용사 358명의 이름이 새겨져 있고, 'FREEDOM IS NOT FREE'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미주리 주의 동쪽 끝 세인트루이스 인근에는 국제결혼가정선교회(담임목사 김민지·이하 선교회)의 '평화의 마을'이 있다. 미국인과 국제결혼한 한인여성들의 모임인 선교회는 1987년부터 회비와 기부금을 모아 세인트루이스 근교 415만8000㎡(12만6000평) 부지에 '평화의 마을'을 조성하고 있다. 국제결혼 후 이혼한 한인여성들을 위한 시설 건립이 당초 목적이었지만 6·25 때 목숨 걸고 싸운 참전용사들의 복지시설까지 계획하고 있다. 김민지 목사는 "오늘의 한국을 있게 한 참전용사들이 인생의 황혼기를 외롭게 보내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이들에게 따뜻한 쉼터를 마련해줘 그들의 참전이 헛되지 않았음을 알려주는 것이 도리일 것 같아 참전용사 복지요양시설을 건립하고 있다"고 말했다.

 덴질 밧슨 씨가 거주하는 소도시 리퍼블릭에서 20분쯤 떨어진 곳에는 한국전쟁을 알리기 위한 'KOREAN WAR VETERANS MEMORIAL HIGHWAY'라 적힌 표지판도 볼 수 있다. 미주리 주내 60번과 65번 도로 사이에 위치한 이 표지판은 2007년 스프링필드 한인회와 한국전참전용사회가 주 정부에 건의해 건립됐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