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서 차 강의를 하는 등 차 전문가 이재금(44) 씨는 3년 전부터 인도명상을 공부하면서 육류와 생선을 입에 대지 않는다. 불가에서 삿된 음행을 유발시킨다며 스님들이 오신채(五辛菜)를 멀리하듯 이 씨는 인간 본연의 순수성에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육류와 생선을 멀리하고 있다고 한다.

 대동강물이 풀리는 우수가 지났건만 아직도 아침 저녁으로 겨울 끝자락이 남아 있는 요즘 이 씨와 함께 멸치 다시 대신 버섯을 이용, 따뜻한 국물이 있는 야채버섯떡국과 백김치를 만들어보자.

재료 : 떡국, 다시마, 말린 표고버섯, 각종 버섯, 시금치, 호박, 들깨가루, 버섯가루, 소금, 청양고추

국물(다시)만들기

멸치 대신 버섯과 다시마로 끓이지 않고 만든 국물(다시). 

국물을 낼 때 사용하는 멸치 대신 표고버섯과 다시마로 국물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끓이지 않고 8시간 정도 상온의 찬물에 담가두면 충분히 국물이 우러납니다. 연료비 절약도 되고 그야말로 일석이조 아니겠어요. 자기 전에 담가둔 후 아침에 사용하면 되지요." 따로 국물을 우려내면 각각의 향이 배가돼 더욱 좋다. 국물은 투명한 갈색. 통상 국물을 낸 재료는 버리지만 이번 떡국에는 다시마와 표고버섯은 채를 썰어 따로 보관한다. 고명으로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떡국 끓이기

준비한 각종 버섯. 우측 특이하게 생긴 것이 중국의 귀한 버섯인 은이버섯이다. 
떡국과 버섯을 넣고. 
시금치도 넣고.
야채버섯떡국 완성.
그릇을 바꿔 떡국을 담아봤다.
 
 국물이 끓기 시작하면 떡국을 넣는다. 영양과 맛을 생각한다면 현미떡국이 더욱 좋다. 국간장은 국물 자체에 색이 있기 때문에 소금으로 한다. 이 씨는 일반 소금 대신 잘게 빻은 천일염을 사용했다. "천일염은 일반 소금보다 짜기 때문에 양을 적게 넣어야 합니다." 국물이 끓으면 준비한 각종 버섯과 버섯가루를 넣는다. 이 씨는 느타리와 표고 그리고 중국산 은이(銀耳)버섯을 준비했다. 버섯가루는 뒤에 넣어도 상관없다. 시금치는 칼로 썰 필요없이 손으로 대충 뜯어 가스불을 끄기 전, 시간상으로 대략 30초 전에 넣으면 된다. 매운맛을 즐긴다면 청양고추 하나 정도를 곁들인다. 취향에 따라 먹기 직전 꺼내든지 아니면 먹기를 원할 경우 애초에 잘게 썰어 함께 끓인다. 청양고추는 미리 씻어 씨를 발라내 냉장고에 보관하면 된다. 호박도 넣고 김이 있다면 김을 곁들여도 된다. 이번 요리에는 피망이 없지만 만일 피망을 준비할 경우 색깔별로 준비하자. 맛뿐만 아니라 눈으로 호사를 누릴 수 있다. 팁 하나. 다시마가 들어 있을 경우 끓이면 잘 넘치므로 옆에서 지켜봐야 한다.

백김치 담그기

백김치.

떡국만 먹으면 사실 밍밍하다. 백김치가 떡국과 궁합이 좋다. 준비물은 절인 배추와 밀가루 그리고 생강. 밀가루를 푼 물을 끓인 후 소금간을 한다. 이 물이 식으면 절인 배추에 골고루 적신다. 생강 다진 것이 있으면 곁들인다. 냉장고에 사흘에서 일주일 정도 넣으면 제대로 맛이 우러난다. 알고보니 의외로 간단하다.

맛보기

어때요 깔끔하죠. 야채버섯떡국.

 믿기 어려울 정도로 별미이다. 멸치국물에 고명으로 쇠고기와 계란을 넣는 떡국보다 훨씬 깔끔하고 개운하다. 멸치와 쇠고기 없이 이런 맛이 나다니 놀랍기까지 하다. 오랫동안 뇌리에 남을 정도로 맛이 인상적이다. 버섯의 위력에 새삼 놀랄 정도이다.

 국제신문 산행팀이 현재 매주 한 번 소개하는 기획물인 '근교산&그 너머'는 강산이 변한다는 10년을 어느새 훌쩍 넘어 현재 600회를 앞두고 있다. 전국의 모든의 시리즈 기사 중 최장수를 달리고 있다. 매주 한 번 게재될 때마다 새로운 기록을 갱신하고 있는 셈이다. 아마도 이 기록은 언론 사상 전무후무한 기록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지금이야 신문을 대표하는 시리즈 기사로 당당히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한편으로 돌이켜보면 정말 곡절도 많았다. 내부적으론 너무 오래 됐으니 이제 막을 내리자는 고비를 두 어 번이나 넘겼고, 외부적으론 질시의 대상이 돼 한동안 산행 안내 리본이 난도질 당하는 아픔도 수 차례 겪었다.
 거쳐간 기자만도 무려 7명. 현재 담당까지 포함하면 8명이다.

 그동안 소개됐던 기사를 새롭게 엮은 책만 해도 무려 10권이다. 손꼽아보면 '다시 찾는 근교산' 상긿하, 상긿하를 한 권으로 묶은 하이라이트 격인 증보판, '新근교산' 상긿하와 역시 증보판, '신나는 근교산', '야호! 근교산', 그리고 기자가 쓴 '원점회귀 근교산' 상,중이 그것이다.
 신문에 보도된 상세한 산행기사를 보고, 산행팀이 묶어놓은 안내리본를 확인하며 걷는 산행문화는 국제신문 산행팀에 의해 비롯된 것으로 보면 된다.
 하지만 산행팀은 이따금 독자들이나 지인들로부터 사석에서 이런 불만 아닌 불만을 듣는다.

 내용이 무미건조하다는 것이다.
 좀 더 살을 붙이자면 산행기사라는 단 한 가지 이유만으로, 객관성의 담보라는 대의명분 때문인지 전체적으로 딱딱한 숫자와 방향 안내만 시종일관 반복되고 있을 뿐 무엇 하나 감동으로 다가오는 게 조금도 없다라는 것이었다. 또 적어도 신문이나 서적의 활자로 인쇄될 정도라면 좀 더 화려한 미사여구로 포장해야 더 잘 팔릴 것이라는 고언도 적지 않게 들었다.
 일리있고 고마운 지적이다. 하지만 기자는 산행기를 '떡'에 비유해 그같은 지적에 답하고 싶다.
 화려한 미사여구와 사진으로 포장된 타 매체의 산 관련 기사는 '보기 좋은 떡'인 반면 건조해 심지어 목이 메이기까지 한 국제신문 산행기사는 '먹기 좋은 떡'이라고.

 이렇게 묻고 싶다. 그 '보기 좋은 떡' 다시 말해 화려한 사진과 산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 그리고 개괄적인 코스, 가볼 만한 맛집 등으로 채워진 기사를 갖고 과연 초보자가 산행을 할 수 있는 지. 한 발 더 나아가 '월간 산'을 비롯한 산 잡지에 실린 기사를 보면서 과연 초보자가 산행을 완주할 수 있는 지. 100% 불가능하다.

 월간지는 일반 산악회의 산행대장급이나 노련한 산꾼들에게 도움이 되지만 초보자에겐 실제로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중간에 갈림길만 하나 나와도 당황하게 되는 건 산을 조금이라도 다녀본 사람이라면 수긍이 할 듯싶다.
 하지만 국제신문 산행기사는 가능하다. 기사 속에 '~갈림길. 여기서 좌측으로 10분쯤 힘겹게 오르면 어디어디에 닿고~'하는 식으로 아주 건조하게 전개되는 국제신문 산행기는 초보자도 산행을 완주하게끔 도움을 준다.

 산행기의 객관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먹기 좋은 떡'인 국제신문 산행기는 초보 아줌마 산꾼들도 자녀와 함께 산행을 무사히 마치도록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국제신문의 근교산 시리즈가 전국의 독자들에게 사랑을 듬뿍 받고 있는 비결은 현지 취재에 따른 철저한 현장답사와 산행 후 미비점을 자료분석과 함께 전화로 재차 확인하는 취재의 기본을 한결같이 유지한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숨은 계곡과 능선이 지면을 통해 새로운 등산로로 등장하면 산행에 나서고 싶어도 산길을 몰라 감히 떠나지 못했던 초보 산꾼들도 누구나 쉽게 국제신문 리본을 보고 산행을 할 수 있게 된다.
 초보 산꾼은 물론 베테랑 산꾼들도 '이곳에 이런 코스도 있었나'라며 감탄을 잊지 않는다.
 간월산 공룡능선, 가지산 북릉, 천성산 중앙능선, 신불산 홍류계곡, 밀양 구천산 정승봉, 배내골의 배내봉 등 국내 주요 산 전문 사이트에서도 등장하는 이런 명칭은 바로 국제신문 산행팀이 개척해 명명한 것이 보편화된 것이다. 얼핏 30개는 될 법하다.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다. 산행기를 보고 그대로 따라하기만 하면 산행이 가능한 산행기가 있으면 나와 보라고.

국제신문 산행팀이 개척하고 명명한 간월산 공룡능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