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잇는 암봉 오르고 내리면 발아래 장관일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설명:창원 봉림산 정상에 서면 왼쪽 방향은 창원시가지가, 오른쪽은 철새들의 낙원인 주남저수지와 남해고속도로가 시원하게 펼쳐진다. 아마추어 사진작가인 듯한 한 산꾼의 포즈가 아주 진지해 인상적이다. >
 
낙남정맥(洛南正脈)은 이름 그대로 낙동강 물줄기의 남쪽에 위치한 정맥이다. 대체로 김해의 진산인 신어산(630m)을 시점으로 창원 마산 고성 사천 진주 하동의 봉우리를 거쳐 지리산 주능선상의 영신봉(1652m)에 맥을 대고는 마감한다. 도상거리는 약 220㎞이지만 실제 산행거리는 300㎞가 넘는 대장정.

이번 주 산행팀은 낙남정맥의 창원 구간인 비음산(519m)~봉림산(567m) 코스를 택했다. 헌걸찬 암봉이 매력 만점인 이 구간은 찬바람이 불면서 선뜻 발걸음이 내키지 않는 요즘 근교 산행지로 제격이다.
                                                                           
이들 두 산은 각각 해발 600m도 채 안되는 고만고만한 봉우리지만 '작은 고추가 맵다'는 옛 속담의 전형을 확인시켜 줄 만큼 옹골차다. 웬만한 공룡능선에 버금가는 기복있는 암봉구간과 인내와 체력을 요구하는 아슬아슬한 계단길은 동네 뒷산쯤으로 가벼게 여기고 덤볐다간 큰 코 다칠 만큼 녹록지 않다.

그렇다고 애초부터 잔뜩 겁먹을 필요는 없다. 산행로 곳곳에 하산길이 열려 있어 체력에 걸맞는 '맞춤산행'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산행 중 자녀들을 동반한 가족팀이 제법 눈에 띄는 것도 모두 이러한 연유에서다.

땀흘린 만큼 보람도 안겨준다. 산행 내내 가슴이 확 트일 만큼 시원한 조망도 선사하거니와 철새들의 낙원인 주남저수지나 창원~밀양을 잇는 수산교 등 부산 근교의 낯익은 장소를 직접 눈으로 확인해볼 수 있는 재미까지 제공한다.

산행은 향초슈퍼~진례저수지~관음정사~전원주택~헬기장~비음산 청라봉~진례산성(팻말)~비음산 정상~진례산성(팻말)~용지 벌거숭이공원~정병산 삼거리~내(內)봉림산~독수리바위 철계단~독수리바위 전망대~헬기장~봉림산(정병산) 정상~창원사격장 순. 5시간 정도 걸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창원의 산이지만 들머리는 김해 진례면 신안리 평리부락으로 잡았다. 향초슈퍼 앞에서 하차한 후 '산내도예'라고 적힌 간판 방향(왼쪽)으로 간다. 진례저수지를 지나 '대암산농원'~'바위집'~'평리백숙'~'할매옻닭' 간판을 보고 잇따라 걸으면 관음정사. 이때부턴 외길이라 길 찾기 걱정은 끝.

목장승이 대문을 대신하는 전원주택을 만난다. 주인인 듯한 어르신이 산행팀을 불러 따뜻한 차 한잔씩을 대접한다. 집 앞에 개울이 흘러 옛 시인묵객의 풍치가 절로 느껴진다.

전원주택을 나서면서 본격 산행이 시작된다. '남산재' '대암산' 팻말이 서있다. 남향인 이곳은 아직 나뭇잎의 푸름이 남아 있는 데다 생기처인듯 새소리가 유난히 활기차다. 10분 뒤 임도. 곧바로 정면의 산길로 다시 오른다.
   
 곧 사거리. 왼쪽 방향은 남산재를 지나 대암산(655m) 용지봉(743m) 불모산(802m)으로 이어지고 오른쪽은 비음산 봉림산으로 연결된다. 우측 오르막길로 향한다. 당분간은 땀깨나 흘릴 각오를 해야한다. 급경사 오르막의 연속이니까.

헬기장을 지나면 전망대 바위. 비로소 지금 밟고 있는 능선길이 김해와 창원의 경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부터 종착지인 봉림산까지 '좌 창원' '우 김해'가 줄곧 펼쳐진다. 15분 쯤 뒤 비음산 청라봉(555m). 같은 낙남정맥인 무학산 광려산 대산과 창원과 마산의 경계인 팔용산, 진해의 장복산, 그리고 우리의 목적지 정병산도 저멀리 그 모습을 드러낸다.

가야시대 성으로 추정되는 진례산성의 안내판을 지나면 삼거리. 왼쪽 비음산 정상, 오른쪽은 정병산 가는 길. 산행팀은 비음산 정상에 들렀다가 다시 돌아와 정병산으로 갔다. 이정표에는 비음산(0.63㎞)과 정병산(6.45㎞)까지 각각 20분, 3시간50분 걸린다고 돼 있지만 실제로 10분, 2시간50분 정도 소요된다.

원래 비음산은 산꾼들에게 진달래산으로 알려져 있다. 진례산성 주변을 따라 온 산을 붉게 물들이는 진달래의 절경은 화왕산성과 화왕산의 진달래에 비교될 만큼 일품으로 알려져 있다.

정병산으로 가는 길은 밤새 언땅이 녹아 질퍽질퍽하다. 여기에다 내리막길이라 조심을 요한다. 6분 뒤부터는 진례산성과 나란히 달린다.

야트막한 봉우리 쉼터인 용지 벌거숭이공원을 지나면 정병산 삼거리. 용추계곡 방향과 길이 갈라지지만 이정표는 정비가 잘 돼 있어 길 찾는데는 문제가 없다. 흩뿌려진 낙엽길을 20분여분 걸으면 고개 사거리. 양지발라 아직도 억새가 바람에 한들거린다.

곧 체육공원. 이때부터 정병산의 만만찮은 기복있는 암봉구간이 등장한다. 10분 정도 힘겨운 계단을 올라 또 다시 한 굽이 겨우 넘으면 내봉림산(493m). 경북 봉화의 청량산을 내청량, 외청량으로 구분하는 것과 같은 원리이리라.

이어지는 암릉길. 저 암봉이 정상이겠지 하고 달려가면 그 뒤에 봉우리가 있고, 저 봉우리는 맞겠지 하고 계단과 바위를 지나 다가가면 산꾼들을 비웃기라도 하듯 눈앞에 다른 암봉이 기다린다. 대신 암릉길은 최소한의 양심은 있는지 오르막이 너무 과하다 싶으면 편안한 낙엽길을 잠시 제공, 휴식을 안겨준다. 시원한 전망도 포기하지 않게 하는 요인.

대개 독수리바위부터 속기 시작한다. 신불평원에서 본 영축산 암봉과 흡사한 독수리바위를 향해 가파른 계단을 오르면 정면에 또 다른 암봉이 기다린다. 다시 힘들게 암봉을 넘으면 또…. 계단 쇠받침대 등에 의지해야 하는 이 구간만큼은 험하기로 소문난 월악산에 버금갈 정도. 대개 혀를 내두르고 질린 표정을 짓는다.

헬기장을 지나면서 비로소 안도의 숨을 내쉰다. 갑자기 눈앞에 늘어난 많은 산꾼들과 그들의 여유있는 표정으로 정상이 코 앞에 있음을 짐작케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설명:날머리인 창원종합사격장 진입로의 붉게 물든 메타세쿼이어 가로수가 시원하다.>






정상은 헬기장서 6분 후. 봉림산(鳳林山), 뒷면에는 일명 정병산(精兵山)이라 적힌 정상석이 서있다. 정병산은 일제때 일본군이 이곳에서 군사훈련을 실시했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
창원쪽 발아래는 창원대 창원종합사격장을 비롯 용지공원과 경남도청 등을 포함한 창원시가지가, 오른쪽에는 주남저수지, 낙동강 수산교, 남해고속도로 진영휴게소, 정면으로는 구월산 백월산 관룡산 화왕산 종남산 덕암산이, 김해쪽에는 분성산 신어산 뒤로 금정산 백양산까지 시야에 들어온다.
하산은 정상 입구에서 오른쪽으로 열린 창원사격장으로 향한다. 2㎞정도 거리지만 연신 클레이사격 총소리가 귀를 자극한다. 가파른 내리막길이지만 아직도 억새가 한창이다. 사격장까지는 40분이면 충분하다. 붉은 빛으로 변해버린 사격장 진입로인  메타세쿼이 아 가로수길이 인상적이다..


#떠나기 전에

창원의 진산 봉림산은 정병산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정병산(精兵山)은 군사훈련지와 관련이 있다.

고려시대에는 웅천 즉 진해에 왜구의 출몰이 심해 군사를 훈련하였으며, 일제시대때는 일본군이 2차대전의 교두보로 이곳에 진지를 구축해 이같은 이름이 붙여졌다.

봉림산은 천지개벽때 온 천지가 물에 잠겨 징하나 놓을 만큼만 남아 징산이라고도 불렸다. 또 봉림산 산비탈엔 신라시대 이후 많은 사찰이 생겨 불교가 융성하여 전단산으로도 불렸다 하니 예부터 봉림산은 백성들과 함께 해온 산이다.

지금은 웰빙바람이 불어 창원시민들의 사랑을 독차지 하고 있는 산으로, 아침 저녁으로 쉽게 오를 수 있는 친근한 산이 됐다. 기온이 급강하한 요즘 근교 산행지로 적극 추천한다.

#교통편

원점회귀 산행이 아니라 대중교통편을 이용해야 한다.

부산 서부터미널(051-322-8306)에서 장유행 버스를 타고 김해 진례 초전에서 내린다. 오전 6시10분, 6시30분, 6시50분, 7시35분, 8시, 9시, 9시30분, 9시45분, 10시, 10시10분, 10시30분, 11시, 11시30분에 있다. 2000원.

날머리인 창원종합사격장 입구에선 58, 71-1(이상 일반) 312, 316(이상 좌석)번 버스를 타고 창원시외버스터미널(055-288-5090)까지 간다. 택시타면 4000원 정도 나온다. 부산행 시외버스는 15분 간격으로 있다. 막차는 밤 9시30분. 3100원.

/ 글·사진 = 이흥곤기자 hung@kookje.co.kr
/ 문의 = 국제신문 산행팀 (051)500-5151
이창우 산행대장(051)245-7005 www.yahoe.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