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을 오르내리다 보면 입가에 미소를 머금게 하는 장면들을 간혹 봅니다.
 독특한 형상의 나무나 날짐승 들이 대부분이죠. 흐뭇할 때도 있지만 속된 말로 가소롭기 짝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최근 지리산 산행 때 만난 다람쥐와 한라산에서 본 까마귀가 바로 좋은 예인듯 합니다. 백무동과 장터목을 잇는 소위 하동바위 코스 중간쯤에는 참샘(1197m)이 있습니다. 하산을 기준으로 할 경우 소지봉(1312m) 바로 아래 위치해 있습니다.










 참고로 함양사람들은 조선시대 시인묵객들이 지리산으로 가기 위해선 오도재를 넘어 이곳 백무동에서 지리산 천왕봉으로 올랐다고 합니다.
 지리산은 영남 사림의 정신적 고향으로 숭앙돼 사림파의 시조이자 정신적 지주인 점필재 김종직은 두류산 기행기인 '유두류록(遊頭流錄)'을, 그의 제자 김일손은 '속두류록(續頭流錄)'을 썼다고 합니다. 두류산(頭流山)은 지리산의 또 다른 이름입니다.
 후세에 함양사람들은 점필재와 김일손이 나귀를 타고 머슴과 함께 오른 곳이 백무동, 다시 말해 하동바위 코스로 추정합니다.
 하여튼 함양사람들은 조선시대 때 양반들은 함양땅에서 오도재를 넘어 백무동으로 올랐고, 아랫것들은 함양을 제외한 나머지땅에서 지리산에 올랐다고 농담삼아 자랑합니다.

 다람쥐 소개하는데 무슨 사림이 어떻고 점필재가 어떻고 등등 서두가 길었네요.
 다시 참샘으로 돌아와서, 예부터 물맛이 특히 좋기로 소문난 참샘은 산꾼들의 휴식처였죠. 그러다보니 간식으로 과자와 빵 등을 먹었죠. 이때 부스러기가 조금씩 떨어지자 근처의 다람쥐들이 와서 먹었죠. 그동안 자연식을 하다가 단맛이 적당히 부무려진 과자류에 푹 빠진 다람쥐들은 산꾼들이 오기만을 기다렸고, 이 과정이 차츰 반복되다 보니 다람쥐들은 아예 대놓고 사람들 앞에 와서 과자를 달라고 쳐다보고 있습니다. 심지어 들쥐까지 한몫 거들기도 합니다.
 귀여우면서도 한편으론 이 놈들이 야성을 잃고 순치되지는 않나 하고 걱정이 앞서기도 합니다. 저 놈들이 정상적으로 생활을 해야 생태계도 제궤도로 돌아가는 데 말입니다.

 선배 산꾼들이 다람쥐의 버릇을 잘못 들여놓았지만 지금이라도 조금씩 다람쥐가 야성을 찾도록 도와주는 것이 후배 산꾼들의 몫이라고 생각합니다.

 운문산 자연휴양림도 마찬가지입니다. 이곳의 다람쥐들은 사람들이 지나가면 갑자기 숲속에서 나와 에스코트하듯 주변을 멤돕니다.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마치 자기 구역이 있는 듯 여기저기서 튀어 나옵니다. 모두 인간이 던져주는 과자 때문이겠죠.


그래서 그런지 입구에는 아예 다람쥐를 본 떠 만든 토피어리 다람쥐가 상징물처럼 있습니다. 휴양림 내 다람쥐가 많다는 것을 자랑이나 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어째 뭐가 좀 이상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리산 참샘 인근 다람쥐는 그대로 귀엽기라도 하지, 한라산 윗세오름대피소 인근의 까마귀는 정말 가소롭기 짝이 없습니다. 덩치가 제법 큰 이 놈들은 지네들이 무슨 매나 독수리라고 생각하는지 속된 말로 무게를 잡고 근엄하게 앉아 있습니다. 실제로는 사람들이 던져주는 음식물을 기다리는 주제에.

       윗세오름대피소에서 본 한라산 서북능. 자세히 보면 사태가 발생해 능선이 허물어진 모습이 그대로
      목격된다.





 이 역시 인간들이 자꾸 음식물을 던져 주면서 생긴 버릇인 듯 합니다. 스스로 먹이활동을 하지 않고 인간들이 던져주는 먹이를 기다리는 독수리들을 볼 때 행여나 야성을 잃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독수리들을 위해서라도 그들에게 음식물을 주지 않았으면 합니다.
 대자연의 동식물 심지어 미생물들은 원래 있는 그대로 두어야 생태계가 유지되지 않습니까.

지리산 야생고양이 소탕 대작전
국립공원 생태계 교란 우려
공단, 트랩 등 설치 포획나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포획된 들고양이(위)와 새 한 마리 사냥에 성공한 들고양이.


"들고양이를 포획하라." 국립공원 관리공단이 대대적인 지리산 야생 들고양이 소탕작업에 나섰다.

17일 국립공원 지리산관리사무소에 따르면 최근 경남 산청군 시천면 중산리 계곡과 삼장면 유평계곡 일대를 찾는 피서객들이 버린 음식물 쓰레기를 주워 먹기 위해 들고양이들의 출현이 잦아지고 있다. 하동군 쌍계사 계곡 일대와 전북 남원시 산내면 뱀사골 인근의 민가와 뱀사골 탐방지원센터 주변도 이들의 주요 서식처다.

이 일대에서 활동하고 있는 들고양이는 현재 수백 마리를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들 고양이는 또 민가에서 나온 뒤 왕성한 번식력을 통해 개체수를 늘려가고 있으며 지리산 정상 부근인 해발 1300m 고지까지 진출하는 등 빠르게 활동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 때문에 시간이 흐를수록 야성이 강해지는 고양이들로 인한 생태계 피해가 크게 늘고 있다. 이들 고양이는 꿩을 비롯한 조류의 알과 다람쥐 고라니 새끼 등의 동물을 마구잡이로 먹어치우고 있으며 천연기념물이나 법정보호종들까지 먹잇감으로 삼고 있다.

먹이사슬이 비슷한 야생동물의 먹이를 가로채 생존을 어렵게 하면서 그동안 흔하게 볼 수 있었던 산토끼 등이 최근에는 자취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립공원 관리공단은 지리산내 3개 관리사무소를 통해 10명의 구제단을 구성해 적극적인 포획작업을 벌이기로 했다. 포획은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과 대피소와 쉼터 주변 등을 우선 선정했으며, 주로 생포용 트랩으로 포획하고 있다.

 국립공원 지리산관리사무소 관계자는 "들고양이는 상위 포식자가 없는 데다 번식력이 강하고 활동 범위가 넓어 피해가 급격히 늘고 있어 지리산 생태계 보전을 위해 소탕작업을 강도 높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인수 기자
iskim@kookje.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