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의 영산 지리산 자락의 한봉농가들이 반달가슴곰(이하 반달곰) 때문에 수난을 당하고 있답니다. 벌꿀을 먹으러 온 반달가슴곰이 정성껏 가꾼 벌통을 덮쳐 한해 토봉농사를 망쳐놓기 때문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6일 경남 하동군 목통마을의 한 토봉농민이 반달가슴곰에 의해 파손된 벌통을 수습하고 있다. 김세주 기자 sjkim0@kookje.co.kr 

 어제(7일자) 국제신문에 따르면 지난 6일에도 하동군 화개면 목통마을의 벌통을 30~40통이나 먹어치웠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국립공원 멸종위기종복원센타 직원들이 양봉농가 피해현장을 확인하기 위해 이곳을 방문했을 때도 멀리서 벌통을 찾아헤매는 반달곰이 목격됐답니다.
 문제의 반달곰들은 복원센터가 지난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러시아 연해주와 북한에서 들여와 방사한 것들입니다. 총 27마리 중 증식용으로 사육 중인 4마리와 폐사 또는 실종된 7마리를 제외한 16마리가 현재 지리산에서 야생하고 있습니다. 몸무게가 30~80㎏에 달하는 반달곰은 먹이감이 부족해 마을 주변으로 내려와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고 있습니다.
 하동군 토봉협회에 따르면 반달곰들이 지금까지 먹어치운 벌꿀이 2000여만 원어치에 이른다며 피해 확산을 막을 수 있는 근원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종복원센타는 이 같은 피해가 빈발하자 벌통 주변에 전기울타리를 설치하는 등 대책을 마련했으나 꿀맛에 빠진 곰에게는 역부족이었습니다. 나무에 기어올라가 전기울타리를 뛰어넘거나 땅을 파고 들어와 노리던 벌꿀을 손에 넣고야 만다는 게 종복원센터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면에 들어간 반달곰(사진 위 왼쪽). 방사되는 반달곰(사진 아래 오른쪽).

 산행을 담당하는 기자는 지리산에서 직접 반달곰을 보지는 못했지만 목격했다는 얘기는 지금까지 많이 들었습니다. 최근에는 산꾼들로부터 이런 경험담도 들었습니다. 요즘 반달곰들은 머리가 좋아 등산로 주변에 머물다 산꾼들이 보이기 시작하면 잽싸게 나타나 먹을 것이 들어 있는 베낭을 빼앗아 달아난다구.

 기자는 반달곰 벌꿀 탈취 사건의 7일자 신문 보도를 보면서 일전에 들었던 베낭 얘기가 일순간 머릿속에 오버랩 됐습니다. 해서, 국립공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로 직접 문의를 해보았습니다. 과연 베낭을 갖고 도망가는 것이 사실인지도 확인해볼 겸해서 말입니다.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직원은 7일자 국제신문을 비롯한 일부 언론에 반달곰의 토봉 탈취 소식이 보도되자 아침부터 지금까지 끊임없이 문의전화가 쇄도하고 있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방사되는 지리산 반달곰(왼쪽)과 지난해 회수된 반달곰 천왕.

 신문 보도와 관련,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직원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익명을 전제로 그는 현재 지리산자락에서 토봉을 하는 곳이 대략 400군데 정도 된답니다. 대개 산속에 있기 때문에 이번뿐 아니라 이후에도 이와 유사한 일이 빈번하게 일어날 것이라고 했습니다. 사람보다 후각이 12배 정도 뛰어난 개보다 후각이 7~8배 발달한 반달곰이 산속에 위치한 벌꿀 통에 든 꿀을 먹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상황이라고도 했습니다.
 문제는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어떻게 보상을 해야될 지 그게 막막하답니다.

 그리곤 이런 말도 했습니다. 러시아나 중국처럼 땅이 넓은 곳에서 서식하는 반달곰들은 사람과의 접촉이 없으니까 인간이나 곰에게 아무 문제가 없답니다. 하지만 우리의 경우 곰이 활동하기에는 지리산이 너무 좁아 발생하는 필연적인 문제라고 합니다.
 만일 등산객들이 반달곰을 만날 경우 그냥 모른체 하면 아무 문제가 없는데 사진을 찍기 위해 김밥이나 초코릿, 사탕 등으로 유인했기 때문에 반달곰이 점차 야생성을 잃어 토봉을 탈취하게 됐다는 것입니다. 결국 반달곰의 토봉 탈취는 부주의한 인간에서 비롯된 것이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적응에 실패한 천왕이를 과자로 유인한 후(사진 위) 마취를 시켜 결국 회수하는 국립관리공단 직원들. 사진제공=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 연합뉴스, 김인수 기자 iskim@kookje.co.kr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직원은 기자에게 이렇게 물었습니다. 반달곰이 베낭을 탈취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언제냐고. 작년쯤인 것 같다고 답하니까 그는 그 반달곰이 지난해 5월 회수돼 앞으로는 그런 일이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습니다.
 그 놈의 이름은 '천왕'이라 했습니다. 지난 2004년 방사된 천왕이는 처음부터 적응을 잘 하지 못해 탐방로 주변을 맴돌더니 결국 야생성을 잃었다고 합니다. 얻어 먹다 잘 안 주니 빼앗게 되고 그것마저 잘 안 되니 산속의 음식물 쓰레기를 뒤지게 돼 결국 적응 실패로 판명돼 지난해 5월 회수돼 현재 구례 인근 인공생태학습장에 있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산꾼들의 베낭 탈취 상습범이었던 천왕이가 체포돼 구속수감(?) 중이어서 지리산에서 베낭 뺏길 일은 지난해 5월 이후 사라진 셈이랍니다. 그러면서 지난해 5월 이후 베낭을 반달곰에게 빼앗긴 사람이 있습니까 라고 자신있게 반문했다.

천왕이를 회수해 신체검사를 해 본 결과 놀라운 점은 42개의 이빨 중 20개가 썩어 있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천왕이와 함께 방사한 반달곰 중에는 지리산에 완전히 적응해 등산로 주변에는 일절 나타나지 않는 반달곰도 있다고 합니다. 사람의 종류가 천차만별이듯 곰도 마찬가지인 듯 합니다.

 현재 지리산 종주길에는 반달곰 주의를 알리는 노란색 현수막이 10여 개 걸려 있습니다. 멸종위기종복원센터 관계자는 진정으로 반달곰을 생각하고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면 음식물을 절대 주지 말고, 지정 등산로 이외에는 절대 다녀서는 안 된다고 합니다. 반달곰뿐 아니라 자기자신을 위해서 말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