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류는 깊은 골짜기 휘감고 숲은 대자연 속살 감싸네

들머리 계곡은 기암괴석 병풍처럼 도열
계곡·산길 반복…하산길은 비교적 뚜렷
개척산행 코스 국제신문 리본 확인 꼭


 # 떠나기전에-'도득골'이 지금 '도둑골'로 잘못 불려져

'도득골'은 현재 '도둑골'로 회자되고 있다.
이름부터 우선 께름칙한 도둑골은 전국에 더러 있지만 양산 원동 매봉의 도둑골이 이같이 불리게 된 사연은 분명치 않았다. 적어도 떠나기 전까지는. 인터넷 검색을 해봐도 '이름에서 풍기는 이미지처럼 으슥하고 침침한 분위기…' 정도로 묘사돼 있을 뿐이다.

산행 후 '도둑골 청수가든'에 물어봐도 귀가 번쩍할만한 대답을 듣지 못했다.

목마른 사람이 우물을 판다고, 산행팀은 이곳에서 제법 떨어진 어영마을로 향했다. 혹 마을 어르신들이 '도둑골'의 어원에 대해 속시원히 풀어줄 수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에서다. 마을회관 앞 그늘엔 기대했던대로 어르신 서너분이 연신 부채를 부치며 망중한을 즐기고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산행 전 할머니들 여럿이 계곡에 보였다. 알고 보니 그들은 몸을 점잖게(?) 씻고 있었다.


원래는 도득(道得)골이었다고 했다. 옛날에는 매봉에 적지 않은 선비들이 터를 잡고 들어와 글공부를 했다. 매봉 산길 중간중간에 보이는 석축이 그들이 과거 집을 짓고 밭을 일군 흔적이라고 한다. 실제로 이번 산행에서 목격할 수 있었다.

선비들은 어영마을의 아이들에게 글과 예절을 가르쳐 마을사람들은 '도를 얻는다'는 의미로 도득골이라고 명명했다. 하지만 경상도 사람들의 발음이 정확하지 못해 세월이 지나면서 시나브로 도둑골로 변했다. 결정적으로 도둑골로 외부에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는 아이러니하게도 수년 전 산행 들머리에 위치한 '도둑골 청수가든'이 개업하면서부터.

상호에 '도둑골'이라고 표기된 사실을 뒤늦게 안 마을 어르신들이 원래는 '도득골'이라고 바로 잡으라고 했지만 이미 상호등록을 마쳤기 때문에 돌이킬 수 없었다.

이후 양산의 오지인 이곳을 산꾼들이 스쳐갔고, 산행기가 온라인 상으로 떠돌면서 도득골이 본의 아니게 도둑골로 변한 것이다. 참고사항 하나. 어영마을사람들은 청수가든쪽을 '감남지'라고 부르고 있었다.

옛 이름 바로잡기 차원에서 산행팀은 향후 산꾼들이 도둑골을 도득골로 표기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또 한 가지.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도중 만나는 신흥사에 잠시 들러 보물 1120호 대광전을 구경하자. 벽화와 단청이 돋보인다.

자! 어서 떠나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매봉 도득골에는 큰 폭포는 없지만 아기자기한 폭포는 이따금 눈에 띈다.


 
지난 10년간 마니아 산꾼들의 산행안내자를 자임하며 무식하게(?) 발품을 팔아온 국제신문 산행팀. 그간 산행대장도 담당기자도 몇 차례 바뀌었지만 변함없이 자부심을 갖는 점이 하나 있다.

바로 국토지리정보원이 발간하는 지형도에도 없는 산 이름을 현지 촌로나 산속 암자에서 주석하는 노승의 증언을 통해 다시 세상 속으로 끄집어내 이제는 전국 산꾼들 사이에서 널리 통용되고 있다는 것.

가장 최근에 발굴한 경주 정족산을 비롯, 양산 천마산 용굴산 채바우골만당 축천산 비석봉, 밀양 구천산 정승봉 명필봉 북암산, 청도 개물방산 쌍두봉 도롱굴산 방음산 서지산 복점산, 합천 절갓 등이 대표적 사례.

이와 관련, 지역 산꾼 이재수(50)씨는 국제신문 근교산 홈페이지에 "산꾼들 사이에 가장 인기있는 사이트인 '한국의 산하'에 올라오는 영남지역의 산행기 및 지도는 모두 국제신문 산행기를 참고해 만들어졌으며, 만일 국제신문 산행기를 참고하지 않더라도 그들이 갖고 있는 지도는 모양만 조금 바뀌었을 뿐 그 모태는 국제신문"이라며 "영남의 산을 타는 산꾼들은 모두 직간접적으로 국제신문 산행팀의 도움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적고 있다. 국제신문 근교산 홈페이지가 발굴한 이재수씨는 수 년전부터 국제신문이 소개한 산을 다녀온 후 거의 매주 촌철살인과 같은 산행기를 올리면서 이제는 개인적으로 팬이 생겨날 정도로 스타로 발돋움한 지역 산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산행 중 발견된 영지버섯과 500원 짜리 동전. 심봤다!


이번 주에 소개하는 양산과 밀양의 경계에 위치한 매봉(755m)도 무명봉으로 지내오다 수 년전 국제신문 산행팀이 그 이름을 되찾아준 케이스. 이웃한 금오산 인근에 위치한 약수암의 노스님이 예부터 '매가 많이 살아' 매봉이라 불렀다는 사실을 전해줘 명명한 것.

당시는 삼랑진 안촌마을에서 출발해 금오산과 매봉을 거쳐 양산 배태고개로 내달리는 능선산행이었던 반면 이번에 새로 개척한 매봉 코스는 비교적 오지인 어영마을 입구에서 시원한 계곡(도득골)을 따라 상봉에 오른 후 곧바로 이웃 능선을 타고 원점 회귀했다.

전형적 육산인 매봉은 해발고도에 비해 골짜기는 비교적 깊은 편. 계곡은 생각보다 유량이 많은데다 올라가면 갈수록 이끼 낀 고색창연한 기암절벽이 병풍처럼 계곡을 휘감고 있어 발걸음을 자주 멈추게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매봉에는 이름 모를 버섯이 아주 많다. 혹 이름을 알면 댓글로 답 좀 적어 주세요.
 
무엇보다 덜 알려진 것이 되레 장점이 돼 사람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는 아주 적다.

산행은 양산 원동면 영포리 '도둑골 청수가든'~(계곡·산길 반복되는 도득골 계곡산행)~주능선~매봉 정상~잇단 묘지~도득골 계곡~'도둑골 청수가든' 순. 순수 걷는 시간은 4시간20분 정도. 이정표 하나 없는 미답의 개척산행인 탓에 길 찾기가 비교적 까다로워 산행 도중 반드시 노란색 국제신문 리본을 확인하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실 산행팀도 몇 차례나 길이 끊겨 적지 않게 애를 먹었다. 하지만 계곡에서 능선으로 오르는 산길만 제대로 찾으면 그 다음부터 산행은 일사천리로 진행된다.

원동면 내포리 어영교를 건너 어영마을 못미쳐 우측에 위치한 '도둑골 청수가든' 입구를 지나 물길을 건너면서 산행은 시작된다. 어영교에서 대략 2㎞ 거리.

계류가 맑고 유량이 적당한데다 신록이 곳곳에 그늘을 조성해줘 꼭 산행이 아니더라도 반나절 가족과 함께 보내기에 제격이다. 개울을 거슬러 올라가다 시멘트로 만든 수중보 바로 아래에서 다시 한번 계류를 건넌다. 이때부터 잡풀숲. 힘겹게 헤치고 나아가면 지계곡과 만나는 합수점. 지계곡쪽으로 방향을 잡으면 잠시 산길이 열린다. 하지만 다시 계곡과 만난다. 이 길로 150m쯤 계곡을 따라가면 우측에 산길이 열려 있다. 입구 주변엔 온통 갈대. 물기가 젖은 숲터널을 잠시 걷다 빠져 나오면 주계곡과 다시 만나고, 역시 계류를 건넌다. 또 다시 산길. 돌길에다 잡풀이 바닥을 가려 발목이 삐끗하지 않도록 유의하자.

여전히 계곡과 산길의 반복. 능선을 타려고 좌우를 살펴도 아직 경사가 심한 비탈만 보일 뿐. 할 수 없이   
 
계곡쪽으로 계속 향한다. 몇 차례 계곡을 좌우로 건너다 보니 우측 이끼 낀 기암절벽이 병풍처럼 둘러싸져 있다. 적어도 이 지점은 아름답기로 정평이 난 양산의 자랑 내원사계곡이나 정족산계곡 못잖은 비경이다. 왼쪽 산길로 오른다. 그것도 잠시. 다시 계곡길과 산길이 또 반복된다. 여전히 반듯하게 이어지는 길을 발견할 수 없다.

들머리에서 대략 1시간30분, 동시에 병풍처럼 둘러쳐진 기암절벽에서 30분 정도 걸리는 지점에서 드디어 왼쪽으로 돌아가는 산길이 열려있다. 잠시 주변을 살펴보면 정면 저멀리 낮은 폭포와 그 앞에 계곡을 가르는 쓰러진 나무가 보인다.

산길 주변에 돌무더기가 널려있고 오르막길 사이로 바위가 자리잡고 있다. 힘겹게 오르면 보랏빛 도라지 두 송이가 눈에 띈다. 이제 물소리를 뒤로 한 채 본격 숲길로 향한다. 계속되는 외길 오르막. 25분쯤 뒤면 왼쪽에 주능선이 나무가지 사이로 확인된다.

길은 점차 가팔라지면서 동시에 희미해진다. 때론 풀숲을 헤쳐야 한다. 제법 숨이 거칠어진다.

마침내 주능선. 산길 입구에서 1시간 정도. 길은 두 갈래. 왼쪽 금오산, 오른쪽 배태고개 또는 매봉 방향. 매봉 상봉은 주능선 갈림길에서 불과 4분 거리. 정상석도 없고 조망도 없다. 대신 삼각점 옆 나무에 '매봉'이라고 적힌 종이판이 걸려있을 뿐이다. 길은 두 갈래. 원점회귀를 위해 우로 간다. 직진하면 배태고개를 거쳐 안전산~축천산 또는 염수봉으로 이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신흥사의 보물 1120호 대광전(왼쪽)과 오가는 도중 만나는 배내골 미술관.  
 
하산길은 비교적 뚜렷해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도중엔 정상에서 못 본 주변 산세를 하산하며 볼 수 있다. 정면 우뚝 솟은 토곡산을 중심으로 우측 뒤로 금동산 천태산이, 왼쪽 골프장 공사장 앞 안전산, 그 왼쪽으로 채바우골만당 내석고개 염수봉이 시야에 들어온다. 특이 사항 하나. 하산길엔 다양한 버섯이 많이 보인다. 영지버섯 흰가시광대버섯 등.

잇단 묘지를 지나 계곡까지는 대략 1시간10분. 계곡으로 내려서면 왼쪽 대각선 방향으로 열린 산길로 오른다. 원점회귀 지점이다. 우측 오르막은 매봉 가는 길, 좌측은 도득골 시점으로 가는 길. 모두 산행팀이 걸었던 길이다. 이곳의 리본 뒷면에 산행팀은 '도득골 방향, 원점회귀 만나는 지점'이라고 적어 놓았다. 참조하길. 이곳에서 들머리이자 날머리인 청수가든까지는 20여분 걸린다.


# 교통편-열차타고 원동역 내려 청수가든까지 마을버스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이정표 기준으로 경부고속도로 양산IC~통도사·양산어곡지방공단 방향 직진~신불산 공원묘지 직진~양산교 건너 우회전~대리 어곡 좌회전~배내골 용선 직진~신불산 공원묘지 통과~신흥사 표지판~원동 영포 내포 69번 지방도 좌회전~영포마을 입석 지나~('가든 언덕우에', '도둑골 청수가든' 큰 간판 보이는)삼거리서 우회전, 어영교 건너~도둑골 청수가든 지나 공터 주차장 순.

부산역에서 원동행 무궁화호 열차는 오전 7시30분, 9시33분에 출발한다. 부전역에서 원동행 열차는 오전 5시, 7시30분에 있다. 요금은 각각 2800원. 열차시간 문의 1544-7788

들머리인 도둑골 청수가든 입구에 가기 위해선 원동역 앞 버스정류장에서 어영(마을)행 버스를 탄다. 오전 6시, 8시15분, 10시15분. 1300원. 문의 원동교통(055-382-5459)

청수가든 입구에서 원동행 버스는 오후 2시40분, 7시45분에 있다. 시간이 맞지 않을 경우 20분 정도 걸어 내포에 가서 원동행 버스를 탄다. 오후 4시25, 5시55분.

원동역에서 부산역행 열차는 오후 6시15분에, 부전역행 열차는 오후 4시52분, 9시8분에 있다.

참고로 원동읍 버스정류장(양산기사식당 055-382-5036)에서 호포(지하철역)행 버스는 오후 4시25분, 5시40분, 7시20분에 있다. 900원.

※대중교통은 현지 사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글·사진 = 이흥곤기자 hung@kookje.co.kr
문의 = 국제신문 산행팀 (051)500-5168
이창우 산행대장
www.yahoe.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