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찾는 근교산 <348> 남해 망운산

'발아래 남해 비경, 오를수록 황홀'


 
  남해 최고의 전망대답게 망운산 산행길에는 장쾌한 조망이
곳곳에 열려 있다. 저 멀리 보이는 왼쪽 섬이 창선도이고
오른쪽은 남해 본섬 자락이다. 그 사이에 자리잡은 강진만이
남해읍내를 에돌고 있다.
금산(錦山)과 망운산(望雲山).

천년 고찰이자 관음기도처로 유명한 보리암을 품고 있는 금산이 남해를 찾는 외지인들의 필수 코스라면 남해 망운산은 남해사람들이 가장 아끼는, 그래서 더이상 외지에 알려지기를 원치 않는 어머니품 같은 산이다. 망운산은 해발 785m로 우리나라 섬 산 중 제주도 한라산, 울릉도 성인봉 다음으로 높다. 부초처럼 점점이 떠있는 다도해의 섬들을 누르고 남해땅 한가운데 우뚝 솟아있는 남해바다 최고의 전망대 역할을 하고 있다.

기암괴석이 온 산을 감싸고 있는 금산에선 상주해수욕장 등 남동쪽 바다밖에 보이지 않지만 망운산은 주변 지형과 높은 고도 덕분에 어느 방향으로도 조망이 거침없다. 아무리 무딘 사람이라도 감탄사가 자신도 모르게 한번쯤은 터져 나오는 황홀경에 직면할 정도.

사찰 등 대개의 명승지가 관광지로 탈바꿈돼 세속화되고 있지만 망운산 정상 부근에 자리한 망운암은 아직은
동자승의 눈빛 마냥 티없이 맑다.

망운산 산행은 흔히 화방사에서 출발하지만 이번 산행은 장쾌한 조망을 즐기기 위해 그 반대편인
관대봉~망운산~망운암 코스를 택했다.

산행은 서면 신촌마을에서 시작, 장군봉~공동묘지~관대봉~주능선~망운산 정상~망운암~저수지
~오동마을로 하산하며 대략 4시간이 걸린다. 지능선에서 산행이 시작돼 등산로 찾기는 식은 죽 먹기다.

남해공용터미널에서 10분 거리인 신촌마을에서 하차한 후 버스 진행방향과는 역으로 200m 걸으면
언덕 어귀에 망운산 등산로 안내도가 보인다. 이곳을 들머리로 산행을 시작한다. 혹은 버스기사에게
양해를 구해 망운산 등산로 입구에 내려달라고 부탁해도 된다.

100m쯤 오르면 등산로라고 적힌 이정표가 나온다. 비 온 뒤의 쾌적한 환경 때문인지 새소리가 끊임없이
들려온다. 산길 바로 옆으로 무덤이 잇따라 터를 잡고 있지만 하나같이 묘를 정갈하게 써놓아 보기가
 좋다. 곧 약수터가 나온다. 그 옆에는 벤치가 두 개 있으므로 잠시 쉬어가자. 망운산 정상이 왼쪽이라고
적힌 이정표가 나온다. 신기마을 쪽으로 내려가는 오른쪽 길 옆에는 체육공원이 보인다. 지도상으로
이곳이 장군봉인 듯.

 

잠시 스쳐 지나가지만 매우 인상적인 측백나무숲을 지나면 우측으로 강진만의 푸른바다가 펼쳐져 있고 그 뒤로 창선도가 남해도와 마주하고 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사량도도 희미하게 시야에 잡힌다. 발밑으로는 남해공설운동장을 비롯한 남해읍이 한 눈에 들어온다.

망운산 정상과 신기마을을 알리는 이정표가 10여분 뒤 한번 더 나오지만 전과 마찬가지로 남은 거리가 적혀있지 않다. 직진하여 오르막길을 택한다. 전방이 확 트인 공동묘지가 기다린다. 어림잡아 20여기. 무덤 위로 활짝 핀 보라빛 패랭이꽃이 앙증맞다. 노란색의 원추리꽃 군락지를 지나면 꽤 넓은 경사진 반석이 나온다. 쉼터이자 전망대다. 고도가 점차 높아지면서 조망범위도 넓어졌다.
 오른쪽으로 여수만과 오동도 돌산도 등 전라도 여수땅이 새로이 나타나고, 창선도 뒤로 삼천포
이쯤이면, 올라갈수록 멋진 조망에 매료돼 비교적 가파른 오르막길도 전혀 힘들지 않다.

계속되는 오르막길. 20여분 후 정면에 어마어마하게 큰 바위가 가로막고 서 있다. 왼쪽으로 크게 에돌아
바위 뒤로 가서 밧줄을 타고 오른다. 관대봉 정상이다. 남해사람들은 가마봉 혹은 시루봉이라고도 부른다.
관대봉은 관음보살상 좌우에 화엄신중이 호위하는 형상이라서, 가마봉과 시루봉은 멀리서 보면 각각
가마와 시루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머리 뒤로는 망운산 정상이 가까이 보인다.


 
  산행도중 만난 노란색의 원추리꽃.

이제부터 어른 가슴높이 만큼 자란 잡풀을 헤치고 오른다. ‘사르르’ 풀 헤치는 소리와 끊임없이 지저귀는 새소리가 한데 어울려 귀를 즐겁게 한다. 짬짬이 나오는 바위를 넘고, 도는 것도 재밌다.

관대봉에서 볼 땐 제법 가파르게 보이던 길이 막상 오르다 보니 그렇지가 않다. 역시 산길은 부딪쳐 봐야 알 일이다. 이렇게 35분 정도 오르면 세갈래 길이 나 있는 주능선에 닿는다. 광양항과 광양제철소가 보이고 그 오른쪽으로 하동발전소가 어렴풋이 시야에 들어온다. 왼쪽은 방송중계소 가는 길, 오른쪽으로 길을 잡는다. 7, 8분 후 ‘직진 망운산, 우측 망운암’이라고 적힌 이정표가 보인다. 이곳에서 10분 정도 마지막 피치를 올리면 망운산 정상. 이름처럼 항상 맑은 구름이 머무른다는 이곳 정상에 오늘 따라 온 사방에서 농도 짙은 운무가 빠른 속도로 움직인다.

하산은 돌탑과 그 뒤쪽의 작은 정상석을 지나 경사가 심한 좁은 비탈길로 시작된다. 석간수를 지나
바윗길로 걷다보면 어느새 망운암에 닿는다. 고려때 진각국사가 창건한 작은 암자. 가파른 산기슭
비좁은 터에 관음전 임법당 요사채 삼성전 등이 일자로 처마를 맞대고 있고, 수십m가 족히 되는 주변의
기목나무가 암자의 역사를 말없이 대변한다.

선서화로 유명한 성각스님이 주지인 망운암은 기도도량으로 알려져 있다. 돌로 만든 간결한 일주문을
지나 우측으로 난 길로 하산한다. 오랫동안 사람이 다니지 않았는지 길이 아주 묵었다. 30여분 길을
헤치고 나아가면 물소리가 시원한 계곡이 나오고, 이 계곡을 건너 산길을 내려가면 오동저수지.
저수지에서 다시 15분 정도 걸으면 오동마을이 나온다.



'떠나기전에'

망운산은 남해의 진산이다. 이 산은 철쭉으로 특히 유명해 ‘5월의 산’으로 불리지만 전망이 워낙 뛰어나 휴가철 남해를 찾은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다.

일반적으로 남해하면 금산 이외는 오를 산이 없는 것처럼 외부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남해군민은 군민만을 위한 망운산을 남해의 제1산으로 여기며 외부에 알려지길 꺼린다. 그 만큼 소중히 생각하며 한편으론 감추고 싶어 하는 산이다. 남해읍을 끼고 병풍처럼 두른 망운산은 서면 고현면을 아우르고 있다. 정상 부근에는 나라의 위급함을 알린 봉수대 터와 기우제를 지낸 흔적 등이 아직도 남아 있다. 국립지리원 지형도에는 방송중계소가 망운산 정상에 위치한 것으로 나와 있다. 하지만 산행을 해보면 망운암 뒤에 솟은 봉우리가 정상으로 인정돼 이곳에 정상석이, 그것도 2개가 돌탑과 함께 서 있다. 여름 휴가를 이용하여 산도 오르고 바다도 함께 즐겨보자.



'교통편'

부산 서부터미널에서 남해행 시외버스는 오전 6시20분을 시작으로 20~30분 간격으로 있다. 9천8백원. 산행 들머리인 신촌까지는 남해공용터미널 정문 앞에서 내금선 방향의 공영버스를 타면 된다. 오전 8시20분, 9시10분, 10시10분, 11시40분. 500원. 산행 날머리인 오동마을에서 남해공용터미널까지 공영버스는 오후 1시40분, 4시10분, 5시40분(막차)에 있다. 500원. 만일 차 시간이 맞지 않거나 막차를 놓치면 걸어서 20분 정도 밖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남해공용터미널까지 걸어가도 된다. 남해공용터미널에서 부산행 시외버스는 오후 3시, 3시30분, 4시5분, 4시35분, 5시5분, 5시30분, 5시55분, 6시20분, 7시5분(막차)에 있다. 9천8백원.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남해고속도로 진교IC를 빠져나와 1002번 지방도~남해대교~19번 국도를 타고 남해읍 남해공설운동장을 지나 좌회전하면 망운산 등산로 입구에 닿는다. 차를 들머리에 주차했다면 오동마을까지 그리 멀지 않으니 자연을 벗삼아 걸어보는 것도 좋다. 오동마을~아산마을~남양아파트~신기마을~망운산 입구.

/ 글·사진=이흥곤기자 hung@kookje.co.kr 
/ 산행대장=이창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