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땅 최고봉 한라산 산행은 현재 선택의 여지가 없이 크게 두 개의 코스만 열려 있습니다.
 분화구인 백록담을 볼 수 있는 정상으로 오르려면 성판악(동쪽)~관음사(북쪽) 코스를 타야 하고, 빼어난 경관과 산세 구경에 주안점을 뒀다면 어리목(북서쪽)~영실(남서쪽) 코스를 택해야 합니다.
 전자는 처음 한라산을 접하는 초보 산꾼들에게 남한 최고봉을 오른다는 의미가 있겠지만 기실 산길이 단조로워 지루합니다. 해서 한라산의 진면목을 감상하려면 산세와 조망이 빼어난 어리목~영실 코스가 제격입니다.

 산꾼들에게 원래 한라산은 겨울 산행지로 인식돼 왔습니다.
 국립공원 한라산관리사무소는 그동안 겨울철 적설기간(통상 11월~이듬해 2월)만 한시적으로 백록담 정상을 개방해왔고, 나머지 기간에는 7, 8부 능선까지로 산행을 제한해 산꾼들은 겨울에만 한라산을 찾았습니다. 이른바 눈꽃산행이란 이름으로.
 하지만 오랜 기간 실시해온 자연휴식년제와 등산로 복구작업이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면서 지난 2003년 3월부터 성판악 및 관음사 코스에 한해 정상까지 개방, 지금까지 한라산의 사계절을 볼 수 있게 됐지요.

 초보자들은 한라산과 관련, 이런 질문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왜 성판악~관음사, 어리목~영실 코스로 구분해서 등산로를 개방하는지 모르겠다고. 다시말해 성판악에서 어리목이나 영실로 내려가면 안되느냐고.

 이유가 있습니다. 백록담을 품은 화구벽이 오랜 기간 대규모 침식과 더불어 사태까지 발생해 남벽과 서북벽 부근이 출입제한 구역으로 통제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가까이서 보면 이러한 통제 조치는 아마도 영원할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어리목에서 올라 사실상 산행의 종착점인 윗세오름대피소에서 보면 사태나 발생해 주능선이 허물어져 있는 모습이 그대로 목격됩니다. 아쉽게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윗세오름대피소에서 본 한라산 서북벽. 자세히 살펴보면 사태가 나서 주능선이 허물어진 모습이 그대로 목격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해발 1700m의 윗세오름 이정석. 더이상 한라산으로 접근하지 못한다.

한라산에 대한 서론이 너무 길었네요.
 오늘 제가 보여 드리고자 하는 것은 독특한 형상의 바위입니다. 앞서 개괄적으로 설명을 한, 한라산 최고의 비경이라 손꼽히는 영실 코스로 하산길에 길에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병풍바위의 절경이 기가 막히다. 실제로 보면 사진보다 몇 배 더 실감난다.

 가파른 하산길인 이 코스에는 신들의 거처라고 불리는 수직의 바위가 마치 병풍을 펼쳐 놓은 것처럼 늠름하게 서 있는 병풍바위와 오랜 세월 비바람에 풍화된 수백의 기암들이 마치 나한들의 모습과 흡사하다 하여 명명된 오백나한, 한여름 비온 후 기암절벽 사이로 폭포가 형성돼 장관을 이루는 비폭포 그리고 서귀포 앞바다가 시원하게 펼쳐집니다. 이 모든 풍광을 구경하다 보면 어느새 영실휴게소에 닿을 정도로 비경을 자랑합니다.

 하지만 이는 만인들에게 널리 알려진 풍광이지요.
 기자는 하산하다가 우연히 특이한 바위를 발견했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자가 보기에는 혀를 내민 모습이 영판 아기공룡 둘리이다.

 산사면에서 약간 벗어나 홀로 서 있는 바위입니다. 보는 사람에 따라 마음씨 순한 초식공룡을 닮았다고 하고, 또 한편으론 혀를 쏘옥 내밀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아기공룡 둘리의 행님(?)쯤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또 산과는 어울리지 않지만 재주 부리는 물개가 연상되기도 하답니다. 개인적으로 혀을 내밀고 있는 개구장이 아기공룡 둘리 정도로 봐주면 될 것 같네요. 또 다른 모습이 연상되면 댓글로 남겨 주세요.
 이쯤 되면 사진 특종쯤 되지 않나요.
 
 또 다른 바위도 하나 발견했는데 이는 알을 품은 어미새의 형상입니다. 툭 튀어나온 부리가 이를 입증합니다.
 이 역시 다른 모습으로 보이면 좋은 의견 댓글로 남기세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운데 상단의 바위가 새의 부리를 빼닮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