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찾는 근교산 <353> 상주 백화산 한성봉

 
  한성봉 정상을 눈앞에 두고 야생화가 지천에 널린 가운데 물고기 등지느러미처럼 우뚝 솟은 암릉길을 걷고 있는 취재팀.
경북 상주와 충북 영동의 경계에 위치한 백화산은 떠날 때와 하산할 때의 감흥이 정반대인 산이다. 뛰어난 경관에 비해 부산에서는 아는 사람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백화산은 국립지리원 5만분의 1 지형도엔 백화산맥이라고 표기될 정도로 산세가 웅장하고 날카롭다. 특히 주봉인 한성봉(933m) 부근 암릉길은 이번 산행의 백미이다. 좌우 양쪽이 모두 낭떠러지인 이 곳은 거칠 것 없는 장쾌한 조망으로 도심에서 찌든 스트레스를 단 번에 날리기에 제격이다.



지형적으로 이 곳은 낙동강과 금강이 백화산을 사이에 두고 남북으로 흐르고 있어 예부터 군사적 요충지로 손꼽혔다. 삼국시대에는 이 곳의 득실에 따라 신라 백제 양국의 국운이 좌우됐고, 고려시대에는 몽고의 침입을 물리쳤으며 임진왜란때는 왜구의 침입에 맞선 의병들의 은신처로 사용된 호국의 성지였다.



주능선에 위치한 금돌성은 이 모든 역사의 수레바퀴를 간직한 채 쓸쓸히 백화산을 지키고 있다.

산행은 백화산 주차장~감시초소~보현사~보문골(계곡)~대궐터~보문사터~금돌성~922m봉~한성봉 정상~헬기장~기암(전망대)~이씨 묘~백화정사~반야슈퍼~침수교 순. 4시간30분 정도 걸린다.



 


원래 백화산은 주봉인 한성봉을 거쳐 주행봉까지가 종주코스지만 취재팀의 이번 산행은 한성봉에서 하산하는 코스를 택했다. 이 코스 또한 매력이 있다. 오를 때는 늦더위를 완전히 잊게하는 계곡산행이고 이후에는 장쾌한 조망으로 산행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지금 시기에 적합한 코스이기 때문이다. 보현사 입구부터 산 정상을 거쳐 하산 때까지 끊임없이 이어지는 형형색색의 야생화 또한 발걸음을 가볍게 한다.



상주군 모동면 수봉정류장에서 하차한 후 길 건너 벽돌집 왼쪽길로 발길을 잡는다. 포도 사과 복숭아밭을 차례로 지나면 정면에 ‘백화산 보현사’ 이정표가 나온다. 왼쪽 저 멀리 보이는 한옥들은 황희 정승의 신위와 영정을 모신 옥동서원이고, 서원 뒤편 작은 봉우리의 정자는 황희가 풍류를 즐겼던 백옥정.



석천(石川)의 범람으로 공사중인 다리를 지나 10여분 걸으면 백화산 등산안내도가 나온다. 오른쪽으로 길을 잡는다. 감시초소를 지나 5분이면 보현사. 주변에는 야생화 천지. 덩달아 나비 천국이다.



임도를 따라 15분 정도 가면 갈림길. 작은 팻말이 서있다. ‘직진 용초폭포’ ‘왼쪽 보문사터 2.5㎞’. 왼쪽 좁은 길을 따라 가다 계곡을 건너면 본격 산길. 너덜을 지나면 또 한 번 계곡을 건넌다. 유량이 많을 땐 등산화를 벗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약간 힘들더라도 우측 이끼 낀 바위길을 넘어 에돌면 계곡을 지날 수 있다.



계곡이 점차 멀어지면서 두번째 갈림길을 만난다. 오른쪽 길은 대궐터를 거쳐 보문사터로 가는 길이고 왼쪽 길은 곧바로 보문사터로 가는 지름길로, 어느 길을 택하든 결국 만난다.



오른쪽 길을 택한다. 심한 오르막길이다. 또 갈림길이 나오면 다시 오른쪽 길로 간다. 경사가 점차 심해진다. 곧 대궐터에 닿는다. 신라의 태종무열왕이 머물렀던 곳. 이름과는 달리 터가 좁다. 10여m 떨어진 곳에 평지를 떠받치는 석축 말고는 별다른 유적은 보이지 않는다. 눈에 띄는 것은 돌을 덮고 있는 찢어진 천막. 그 옆으로 샘터가 있다. 보랏빛의 물봉선 등 야생화가 옛 영화를 지키고 있을 뿐이다.

 
  계곡에 물이불어나면 본격산행을 위해이같은 계곡류를 7번이나 건너야 한다.


7분 정도 뒤엔 보문사터. 역시 절 흔적은 오간데 없다. 돌로 쌓은 제단과 돌탑이 보이고 그 옆에 아름드리 당나무가 두그루 서있다. 10m쯤 떨어진 또 하나의 제단을 지나면 모처럼 호젓한 산길. 왼쪽 저 멀리 물소리가 들린다.



쓰러진 지 얼마 안되는 나무가 길을 막고 있다. 에돌아 가니 주변엔 크고 작은 쓰러진 나무가 많이 보인다. 25분 정도 걸으면 금돌성. ‘포성봉 정상 1.7㎞’ 팻말이 서있다. 금돌성은 신라때 김흠이 쌓은 포곡식 석성으로 김유신 장군이 백제군과 격전을 벌였으며 무열왕(김춘추)도 친히 이 성을 찾아 신라군을 독려했다. 지금은 80m만 복원돼 있다.



산성벽을 따라 숲속을 5분 정도 걷자 곧 전망이 트인 암부가 나온다. 왼쪽에는 들머리였던 석천 다리공사 현장이 보인다. 20분 걸으면 광대한 조망이 펼쳐지는 무명봉. 사방에 거칠 것이 하나도 없다. 왼쪽은 경북 상주, 오른쪽은 충북 영동. 오른쪽 뒤로 멀리서부터 속리산 구병산 팔음산 등 명산이 시야에 들어오고 왼쪽 코 앞에는 922m봉이 손짓한다. 한성봉으로 가는 도중에 만나는 물고기 등지느러미 같이 솟은 암릉길은 기어가야할 정도로 오금을 저리게 한다.

 
  금돌성. 신라 김유신 장군이 백제군과 격전을 벌였던 곳이다. 지금은80m만 복원돼 있다.


922m봉을 지나 15분쯤 후면 마침내 정상. 널따란 공간이 있지만 잡목으로 시야가 가려져 있다. 그래도 잡목 사이로 정남 방향에 황악산이 보인다. 재미있는 사실은 2개의 정상석에 각각 ‘백화산’ ‘포성봉’이라고 적혀있지만 정확한 표기는 한성봉(漢城峰). 마을사람들에 따르면 백화산의 주봉은 한성봉. 고려때 몽고군이 침입, 백화산 저승골에서 대패해 한탄한 데서 한성봉(恨城峰)으로 부르던 것이 시간이 흐르면서 한성봉(漢城峰)으로 변했으며, 포성봉(捕城峰)은 일제때 우리나라의 국운을 꺾을 목적으로 금돌성을 포획한다는 뜻에서 일본사람들이 그렇게 명명했다고 한다. 때문에 하루빨리 정상석을 한성봉(漢城峰)으로 고쳐야겠다.

직진하면 주행봉 방향이므로 하산은 반야사 방향인 왼쪽으로 내려선다. 갈림길이 나오면 오른쪽 길을 택하고 두번째 갈림길이 나오면 왼쪽 길로 내려선다. 왼쪽 길 정면 큰 바위에 붉은색 페인트로 ‘반야사’라고 적힌 곳을 택하면 계곡을 거쳐 반야사로 가는 길이므로 피하자. 40분 뒤 헬기장이 나오고 이어 반야사 일대가 한 눈에 들어오는 멋진 기암인 전망대를 지나면 ‘하산길 큰길 100m’ 안내판이 나무에 꽂혀 있다.
반야사 스님의 수도처인 백화정사를 지나 오른쪽 무선기지국 방향으로 내려서면 시멘트 다리와 반야슈퍼, 잠수교가 잇따라 나온다.

/ 글·사진=이흥곤기자


[ 15분 거리 1시간에 '맨발 산행'도 묘미 ]

근교산 취재팀이 맨발로 산행을 한 까닭은?

백화산 한성봉을 찾은 날은 지난 21일 오전. 마을사람들에 따르면 이 곳에는 전날부터 이날 새벽까지 굵은 빗줄기가 세차게 내리다가 오전 7시께 그쳤다.



들머리인 보현사 입구에서 만난 백화산 관리인 곽모씨는 취재팀을 보자마자 “비가 많이 와 본격 산행을 하기 위해선 물이 무릎까지 닿는 계곡을 6개나 건너야 한다”며 걱정스런 표정으로 산행을 만류했다.



그래도 올라가야하는 것이 취재팀의 업무 아닌가.



보현사를 지나자 곧 듣던대로 계곡과 만났다. 등산화와 양말을 벗고 바지를 최대한 올린 후 계곡을 겨우 건넜다. 물살이 예상보다 셌다. 다시 등산화와 양말을 신고 150여m를 걸으니 또 계곡이 나와 등산화와 양말을 벗고 계곡을 건넜다. 그리곤 다시 등산화와 양말을 신었다.



한 번 더 이 일이 반복되자 취재팀은 곧 계곡이 다시 나올 것을 예상하며 맨발로 걸었다. 하지만 이번엔 다음 계곡까지 거리가 제법 멀었다. 발바닥이 매우 아프고 고통스러웠지만 그렇다고 다시 등산화를 신기에는 자존심이 상했다. 그래도 손바닥 크기의 돌을 밟을 때는 오히려 지압효과로 시원함도 느꼈고 물에 잠긴 점토질 토양에 발을 얹었을 땐 발바닥을 통해 전달되는 흙의 순수함에 마냥 편안했다.



그런데 묘하게도 시간이 지나면서 요령이 생기고 속도도 점차 빨리지는 등 해볼만하다는 생각이 머리를 스쳐갔다. 여기에다 계곡까지 닿으니 신이 났다.



그러나 동행한 이창우 산행대장은 등산화를 신은 채 계곡 속으로 들어갔다.



나머지 두사람의 맨발산행은 계속됐다. 마지막 계곡은 물살이 너무 세 위쪽으로 20m 전진한 후 건넜더니 다시 작은 계곡이 기다리고 있었다. 결국 취재팀은 본격 산행을 위해 7개의 계곡을 건넜다. 15분 걸릴 거리를 1시간에 걸쳐 닿았다.

 
  백화산 한성봉에 오르는 길은 뭐니뭐니해도 거칠 것 없는 장쾌한 조망이 압권이다. 922m봉에서 본 충북 영동지역의 전경. 산 밑에서 올라오는 운무가 인상적이다.


27일 오전 백화산 관리인과 다시 통화를 했다. 비가 많이 온다고 전했다.



이번 기회에 맨발산행은 어떨까. 자신이 없을 경우 실내화 같은 얇은 운동화를 준비하면 계곡을 건너는데 도움이 될 듯하다. / 이흥곤기자







[교통편]



이번 산행은 열차로 충북 영동군 황간역에서 내려 버스나 택시로 도경계인 오도재를 지나 들머리인 경북 상주시 모동면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장 편리하다.



부산역에서 황간역에 정차하는 무궁화호 열차는 오전 7시15분, 10시45분, 낮 12시45분, 오후 2시12분 등 하루 4차례. 9천5백원(주말요금 1만1천2백원). 황간버스정류장에서 화령방면 버스를 타고 들머리 입구인 수봉버스정류장에서 내린다. 오전 7시30분, 8시35분, 9시30분, 11시, 낮 12시20분. 750원. 황간버스정류장은 황간역에서 왼쪽으로 나와 큰 도로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7분 정도 걸어가면 나온다. 시간이 맞지 않으면 황간버스정류장에서 택시를 타고 들머리인 보현사 입구까지 바로 갈 수 있다. 1만1천원 안팎.



날머리인 반야사 입구에서 우매리버스정류장까지는 걸어서 30여분 걸린다. 이 곳에서 황간역으로 가는 버스는 오후 5시40분, 7시30분에 있다. 750원. 황간역에서 부산행 무궁화호 막차는 오후 5시57분이다. 오후 5시40분 버스를 타면 황간역까지 5~6분 걸리므로 오후 5시57분 무궁화호 열차시간에 댈 수 있다. 오후 7시30분 버스를 탈 경우에는 황간역에서 내리지 말고 김천(2천5백원)에서 내려 식사 후 밤 9시18분 무궁화호 열차를 타면 된다. 이럴 경우 부산역에서 마지막 지하철을 탈 수 있다. 반야사 입구에서 시간 절약을 위해 택시(043-742-4242, 4267)를 부르면 편리하다. 황간역까지 1만원.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황간IC에서 빠져나와 좌회전 직후 곧바로 우회전 한 후 ‘상주 모동’ 방면의 49번 지방도를 따라 가면 된다. 25분 정도 걸린다. 들머리 보현사 입구에서 날머리 반야사 입구까지는 10여분 걸린다. 우매리버스정류장에서 오후 4시5분, 5시45분께 들머리인 수봉버스정류장까지 가는 버스가 있다.









[ 떠나기전에 ]



백화산은 한성봉과 주행봉으로 나눌 수 있다. 영동 황간과 상주 모동면을 가르는 경계로 속리산 구병산과 함께 상주의 3대 명산으로 손꼽힌다. ‘산 전체가 티없이 맑고 밝다’는 뜻의 백화산은 석천을 끼고 세심석 명경대 병풍바위 저승골 전투갱변 난가벽 부처굴 등의 절경과 고려조 음악가인 임천석이 불사이군의 충절로 투신했다는 임천석대가 있다. 황희 정승의 옥동서원과 백옥정 용초 용수폭포 보현사 반야사 등 이야기로 가득한 전설의 산이다. 반야사는 세조가 문수동자의 인도로 반야사 뒤 명경대 아래 영천(靈泉)에서 목욕후 피부병이 나았다는 설화가 전하는 곳이다. 여름을 보내고 가을을 맞이하는 산으로 강력 추천한다. / 이창우 산행대장 www.yahoe.co.kr




hung@kookje.co.kr  입력: 2003.08.27 20:39 / 수정: 2007.08.21 오후 5:11:39
ⓒ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