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 고성 운흥사 충견 

  삽살개 먹쇠 이야기

"세상이 아무리 타락하고
 비뚤어져도 이놈은 한결같아"



운흥사 주지 경담 스님을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는 삽살개 먹쇠. 스님은 "먹쇠가 최근 기력이 쇠해져 마음이 무척 아리다"고 전했다.
사진 촬영을 위해 주지 스님이 빗질을 한 번 했지만 워낙 털북숭이라 코밖에 보이지 않는다.  

경남 고성 땅 와룡산 향로봉 중턱에는 운흥사라는 절집이 있습니다.
중생대 '공룡의 무도장'이라 불리는 상족암 군립공원이 차로 15분 거리에 있지요.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가 창건한 이 절은 임진왜란 당시 사명대사가 승병을 지휘했으며, 충무공 이순신 장군도 수륙 양면 작전을 꾀하기 위해 세 번이나 다녀간 곳이라고 합니다.
운흥사는 매년 음력 3월 3일 임진왜란 때 산화한 승병의 넋을 기리기 위해 조선 숙종 때부터 영산재를 지냅니다.
예부터 이 재를 세 번만 보면 죽어서 극락 간다는 말이 전해오는 데다 조선시대 불화의 대가 의겸 스님이 조성한 대형 괘불(가로 8.18, 세로 12.72m·보물 제1317호)이 걸려 있어 전국에서 불교 신자들이 구름처럼 몰려옵니다.
이 괘불은 일제시대 일본인들이 자국으로 가져가려고 세 번이나 사천 앞바다로 옮겨 배에 실었으나 심한 풍랑으로 번번이 좌절됐다 합니다.

운흥사의 아담한 장독대도 꽤나 유명하답니다. 낮은 흙돌담을 동그랗게 쌓아 기와를 얹어 운치가 그만입니다. 흔히 장독대는 외진 곳에 두지만 이곳에서는 그 예쁨을 뽐내려는지 경내 한가운데 두고 있습니다. 장독대 뒤로는 영산전으로 이어지는 투박한 돌계단이 있습니다.
이 돌계단은 장독대와 어우러져 우리 고유의 토속미를 더해주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절을 찾는 아마추어 사진작가들이 사시사철 줄을 잇지요.
이들 작가들은 하나같이 풍경을 무명의 도공이 일궈낸 막사발의 그것과 흡사하다는 반응을 보입니다.

흙돌담에 기와를 얹은 운흥사 장독대. 흔히 장독대는 외진 곳에 두지만 이곳에는 경내 한가운데 있다.

운흥사에는 세간에 널리 알려지지 않은 또 하나의 명물이 있습니다.
이 절집의 지킴이 삽살개 먹쇠입니다.
절집의 마스코트이기도 합니다.
아무런 정보도 없이 그냥 절을 찾으면 지나치기 쉬운 견공이지요.
주지 경담 스님은 "전생에 부처님이나 스님과의 인연이 있었는지 먹쇠는 어려서부터 절간에서 수도승처럼 생활해 내세에는 인간으로 환생해 좋은 삶을 영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주지 스님을 세 분이나 모시며 고성 땅 산골짝에서 절밥을 먹은 지 16년 정도로 추정되는 먹쇠.  사람 나이로 치자면 80세쯤 되는 노인인 먹쇠는 평소에는 순하고 영리한 데다 그날그날 주지 스님의 심기까지 챙깁니다.
손댈 데 하나 없는 충견이랍니다.

 먹쇠는 최근 눈에 띄게 기력이 쇠해졌습니다. 세월 앞에 장사 없다는 옛말이 견공에게도 적용되는가 봅니다. 스님을 보필하며 지금까지의 '천직'인 절집 지킴이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하지만 몸이 예전 같지 않아 절집 식구들을 안타깝게 하고 있지요. 그래도 나태하지 않은 강직한 모습은 변함없습니다.
이번 주 테마를 충견으로 잡았습니다. 주인을 위해 자기 한 몸을 기꺼이 바치고 있는 견공들의 이야기입니다.

배신과 변절, 회유 등 온갖 구태가 판을 치는 속세에서 오롯이 맡은 바 소임을 묵묵히 수행하는 충성스러운 견공의 우직함은 오늘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작은 시금석이 될 것 같아 먼 길을 마다하지 않고 그들을 찾아봤습니다.
휴가철이 다가왔습니다. 아직 계획을 세우지 않았다면 한려해상 국립공원을 끼고 있는 고성군 바다와 산을 찾아 잠시 먹쇠가 살고 있는 운흥사를 한번 방문해 보시면 어떨까요.

 운흥사 먹쇠 이야기 후속편( "저승에선 제가 먹쇠를 위한 삶을 살아야죠")을  보시려면 아래 주소를 클릭하세요. 
http://hung.kookje.co.kr/48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