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교미술 대중화 나선 동아대 고고미술사학과 박은경 교수
-전문성·대중성 갖춘 연구로
- 전국서 초청1순위 스타학자
- '불화 연구'로 국내외서 명성
- 한일문화교류에 물꼬 트기도
동아대 고고미술사학과 박은경(53) 교수를 소개할 땐 별도의 수식어가 붙는다. '부산지역 1호 불교미술 전공자', '지역의 숨은 스타급 인문학자' 등이 바로 그것. 후자를 두고 그는 과찬이라 손사래를 치지만 그를 아는 지인들은 예외 없이 고개를 끄덕인다.
그는 빛바랜 강의노트 하나로 버티는 공부와 담싼 교수와는 차원이 다르다. 교수 평가의 잣대가 되는 논문이나 저서, 강의에 있어 단연 돋보인다.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적당한 재미를 겸비한 카리스마 넘치는 그의 특강을 한 번이라도 들은 사람들은 단번에 감흥을 받아 그의 팬이 되고 만다. 강연 후 주최 측의 선호도 앙케트에 최상위에 랭크됨은 물론이다.
이렇다 보니 그는 실력이 신통찮으면 좀처럼 초청되지 않는 삼성리움미술관이나 국립중앙박물관을 비롯한 전국의 불교미술 관련 특강에는 초청 대상 1호로 분류돼 있다. 올 상반기에 특강만 20건. 강의하랴, 연구하랴, 저술하랴, 한 학기가 보통 15~16주임을 감안할 때 분명 강행군임에 틀림없다.
인문학자가 왜 이토록 바깥나들이를 자주 할까. 박 교수는 불교미술학자답게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이라는 대승불교의 교육이념을 빗대 설명했다.
"인문학 전공 교수들이 '위로는 깨달음을 구한다'는 '상구보리'는 잘해요. 하지만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한다'는 '하화중생'을 소홀히 해요. 인문학이 뇌사상태에 빠진 것은 학자들의 책임이 아주 큰 것 같아요."
그는 외부 특강을 다니면서 '왜 이전에 이런 생각을 못 했을까' 하는 후회가 들었다고 했다. 뭐든 하나를 잡으면 끝을 봐야 하는 독한 성격의 소유자인 그는 인문학의 대중화를 위해 그간 준비한 특강 원고를 중심으로 '쉬운' 인문한 교양서적을 내겠다고 했다.
지난 2월 펴낸 '범어사의 불교미술'(선인)이란 책도 같은 맥락으로 봐달라고 했다. 동아대 석당학술총서 제19호인 이 책은 범어사의 역사와 건축, 조각, 불화, 자료 편으로 구성돼 있다. 같은 학과 정은우 교수 등 4명의 전문가가 주제별로 공동 집필했지만 기획부터 출간까지 박 교수가 주도했다.
"범어사와 관련된 책은 지금까지 사찰의 역사에 관한 자료집 몇 권 정도가 전부였지만 이 책은 전문성과 함께 대중성도 갖춘 책이지요. 특히 범어사처럼 역사의 굴곡에 따라 중건과 중수를 반복한 사찰은 기초사료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가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지역 불교미술 연구에도 상당히 의미있는 책이지요."
박 교수의 세부 전공은 불교회화, 그중에서도 조선전기 불화이다. 2008년 펴낸 '조선전기불화연구'와 '서일본 지역 한국의 불상과 불화'는 그가 학자로서의 존재감을 국내외에 널리 알린 역작. 현재까지 알려진 조선전기 불화는 140여 점. 이 중 일본에만 100여 점이 있다. 당시 국내에는 조선후기 불화 연구자는 많았지만 조선전기 불화 연구는 전무한 상태였다.
일본 규슈대에서 한국불화로 박사학위를 받고 1994년 모교로 부임한 이래 방학 때마다 조선전기 불화가 산재한 일본 미국과 국내 곳곳을 발로 뛰며 현존하는 불화를 모두 체계적으로 집대성해 펴낸 것이 '조선전기불화연구'이다.
이 책은 고려불화에서 조선후기 불화 사이의 간극을 메워주고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높이 평가 받아 박 교수는 이듬해 미술사학자로서 최대 영예인 우현 고유섭 선생을 기리는 우현학술상을 수상했다.
2002년 학술진흥재단에서 당시로는 파격적인 2억 원의 연구비를 받아 펴낸 '서일본 지역 한국의 불상과 불화'는 한국의 고·중세 불상과 불화를 집대성한 자료집. 이 책 출판을 계기로 그는 한일 국제학술심포지엄을 열어 한일 문화교류의 물꼬를 트기도 했다. 특히 이 책 저술을 위한 조사과정에서 교토 모 사찰의 노승이 박 교수의 열의에 감동, 조선전기 불화인 '영산회상도'를 기증해 박 교수는 이를 우리나라 보물(1522호)로 지정되게 했다.
"현재 조선전기 불화라고 추정되는 자료에 대한 문의가 20점 정도 요청이 와 있어요. 본업은 하던 대로 할 생각입니다. 여기에 인문학이 딱딱하지 않고 재밌는 학문이라는 사실을 특강과 저술로 꾸준히 실천할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