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5 참전용사의 한국 사랑
<2>뉴욕-다놀드 휄드먼
-포병부대 배속 1년 한국 머물며 / 대구·임진강·원산 전투 등 참가
- 수류탄 맞아 부상, 힘겨운 고통 / 전쟁 후 트라우마로 한동안 투병
- 한인교회서 자원봉사 활동하다 / -집 없어 오갈 데 없는 가족 만나
- 25년간 자기집에서 생활하게 해 / 어려운 한인보면 주저없이 도와
6·25 참전용사 다놀드 휄드먼 씨가 성조기와 태극기, 군부대 마크, 각종 훈장 및 뱃지 등이 담긴 액자를 배경으로 자신의 거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미국 뉴욕 브루클린의 한 서민아파트에는 80대의 한국전 참전용사와 한국인 모녀 3명 등 총 4명이 함께 살고 있다. 철저한 개인주의 문화인 미국에서 백인 노인이 아무런 연고도 없는 한국인과 함께 거주하고 있는 사연은 뭘까.
거동이 꽤 불편한 다놀드 휄드먼(86) 씨는 '인연'이란 단어를 자주 사용했다. 아시아의 조그만 나라의 전쟁에 참전한 거나 25년 전 정말 우연히 브루클린의 한 한인교회에서 자원봉사로 영어를 가르치게 된 것을 두고 그는 인연 치고는 묘한 인연이라 했다.
지금 함께 살고 있는 두 딸의 엄마 민현숙(56) 씨도 한인교회 영어교실의 학생이었다. 일주일에 두 번 가르쳤는데 한 번도 빠지지 않을 정도로 열성적이었다. 그런 학생이 한동안 나오지 않았다. 지병으로 앓던 남편이 세상을 떠 싼 월셋집을 찾느라 수업에 빠졌다는 것이다. 뒤늦게 이 소식을 접한 휄드먼 씨는 오갈 데 없는 이 가족에게 작은 방 한 칸을 내줄 테니 들어오라고 했다. 물론 공짜는 아니었지만 사실상 거저였다.
민 씨의 사정은 정말 딱했다. 영주권이 없어 비싼 로스쿨 학비를 내야 했던 첫째 아이 때문에 집세와 교육비가 큰 부담이었다. 휄드먼 씨는 "싼 집을 못 구할 경우 노숙자쉼터에서 살기로 결심했다"는 말을 듣고는 죽기 전 자신이 정말 좋은 일을 했다고 생각했다. 로스쿨 학비도 두 번이나 빌려줬다.
민 씨네의 불행은 계속됐다. 로스쿨을 다니던 첫째 딸에게 만 21세까지 끝내 영주권이 나오지 않았다. 미국 이민법에 따르면 이럴 경우 추방돼 10년간 미국에 들어올 수 없다. 슬픔에 잠긴 민 씨 가족을 위해 휄드먼 씨는 뉴욕의 민주·공화 양당 상원의원과 이민전문변호사를 만나는 등 마치 자신의 문제인 양 최선을 다해 결국 일종의 사면인 '웨이버'를 받아 영주권을 받도록 했다. 덕분에 첫째(현재 32세)는 2년 만에 복학, 로스쿨을 졸업한 후 현재 기업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영주권이 있는 둘째 딸은 올 여름 로스쿨을 졸업한다.
인터뷰 도중 휄드먼 씨는 편지 한 장을 내놓았다. 민 씨가 기자에게 한글로 쓴 편지였다. 눈에 띄는 대목이 있었다. "휄드먼 씨가 대가 없이 저희 가족을 도와주신 것처럼 저희 가족도 앞으로 우리 사회와 이웃을 위해 성심성의껏 도우면서 살겠습니다. 그는 하늘에서 내려온 구세주입니다."
휄드먼 씨의 한국사랑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그의 아파트 인근에서 세탁소를 운영하는 한 한국인 부부 중 남편이 중병에 걸려 부인이 홀로 생업을 책임지고 있었다. 그 소식을 들은 휄드먼 씨는 그 집의 12세 딸과 4세 아들을 방과 후나 주말이면 놀이공원이나 박물관 등에 함께 다니며 건사했다. 고맙게도 티 없이 잘 자란 딸 아이 박혜림(22) 씨는 어느덧 간호사가 됐다. 그는 아빠의 거동이 불편하니 결혼식 때 휄드먼 할아버지에게 손을 잡아 달라고 부탁할 예정이라고 입버릇처럼 되뇐단다.
화두를 한국전쟁으로 돌렸다. 거실 한 쪽 벽면에는 태극기와 성조기, 군부대 마크, 각종 훈장 및 뱃지, 전쟁 당시 군복 입은 사진이 들은 액자가 걸려 있다. '퍼플 하트'(Purple Heart·전쟁 중 부상 당한 군인에게 주는 훈장)라 적힌 모자와 티셔츠를 입은 그는 빛바랜 앨범과 흑백사진, 그리고 한반도 지도를 꺼내 기자에게 설명했다. 1950년 11월부터 1년간 참전한 그는 미 1기병사단 포병으로 부산에서 대구, 임진강, 원산까지 전진하면서 여기저기서 싸웠다. 수원 지평리전투에선 수류탄 파편에 머리와 손을 다쳐 일본으로 후송됐다. 치료 후 귀국도 가능했지만 그는 전우들이 있는 부대로 복귀했다.
전쟁의 트라우마 때문에 사실 그는 대학 및 결혼생활이 평탄치 못했다. 학업은 입학 후 6개월 만에 중단했고, 10년간의 결혼생활도 그리 행복하지 못했다. 이후 재결합을 했지만 역시 오래가지 못했다. 61세 때 뒤늦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판정을 받고는 그간 그럭저럭 꾸려오던 사업체를 아들 둘에게 물려주고 정신병원에서 치료에 전념했다. 지금은 회복돼 거의 정상적인 생활을 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한국전쟁 참전이 그의 삶에 아주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지만 그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나는 코리아나 코리안에 대해 절대 원망하지 않는다. 솔직히 전쟁 중 너무나 끔찍한 고통을 많이 받았지만 동시에 군인도 아닌 평범한 코리안들도 이에 못지않게 힘들었다. 5년 전 한국정부가 초청해 코리아를 다녀왔다. 깜짝 놀랄 정도로 많이 발전해 전우들과 함께 많은 눈물을 흘렸다. 고마웠다. 앞으로도 나는 미국 내 한인들과 서로 도우며 친하게 살고 싶다. 이런 인연도 사실 없지 않은가."
6.25당시의 다놀드 휄드먼 병장
빛바랜 앨범과 당시 지도와 자료 등을 꺼내 보이며 설명을 하고 있는 다놀드 펠드먼 씨.
# "조국 지켜줘 감사합니다" 뉴욕성결교회의 남다른 보은
- 6·25 참전 용사·가족에 회의실 제공 / 성금 모아 한국방문 주선, 식사대접
지난달 14일 뉴욕성결교회에서 '코리안 베테랑스홀' 명명식이 열려 교회 관계자들과 한국전 참전용사 및 그 가족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미국 뉴욕 최남단 스태튼 아일랜드에 위치한 뉴욕성결교회(담임목사 장석진)에서 지난달 14일 의미있는 행사가 열렸다.
교회는 이날 지하 친교실에서 스태튼 아일랜드 한국전참전용사와 그 가족들을 초청, 만찬을 베풀고 친교실을 '코리안 베테랑스홀(Korean Veterans Hall)'로 하는 명명식을 가졌다. 이를 위해 홀 정면에 태극기와 성조기를, 그 아래에는 한국전쟁에 참가한 미 해병대 공군 해군 등 6개 군의 대형 기와 기념사진을 걸어놓았다.
이 홀은 앞으로 스태튼 아일랜드 한국전참전용사회가 매달 한 번 모여 회의를 열고 업무를 보는 데 사용된다. 참전용사회는 원래 별도의 사무실이 있었지만 문제가 생겨 수 년 전부터 이 교회 친교실을 회의장소로 사용해왔다.
교회에선 참전용사들을 위해 매년 식사를 대접했고, 2012년엔 그들을 위해 자선음악회를 열어 모금된 성금으로 참전용사 4명을 한국에 다녀오도록 배려했다.
이날 한국전참전용사회 조지 파슨스(86)회장은 한국말로 "고맙습니다"라고 인사한 후 "한인교회가 참전용사들을 잊지 않고 여러 모로 따뜻하게 도움을 줘 정말 감사하다"고 말했다.
뉴욕성결교회 장석진 목사는 "10여 년 전만 하더라도 참전용사들이 80명이 넘었는데 지금은 50명 정도"라며 "이역만리 이름도 모르는 조그만 나라를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운 참전용사들이 모두 돌아가시더라도 그들의 가족들과 우의를 다지며 이 모임을 계속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스탠튼 아일랜드 '한국전참전용사회'의 정식 이름은 'CPL Allan Kivlehan Chapter'. 우리 말로 하자면 '상병 앨런 키블리한 모임'. 앨런 키블리한은 스태튼 아일랜드 출신의 참전용사 중 맨 먼저 전사한 사병이다. 8남매 중 첫째인 그의 여동생은 오빠를 대신해 이 모임에 참석한다. 참전용사회 임명옥 연락간사는 "지난해 10월 부산유엔공원에서 앨런 키블리한의 이름을 확인한 후 사진을 찍어 동생들에게 보여줬더니 몹시 기쁘했다"고 말했다.
이날 관계당국의 협조로 교회 앞 거리명도 기존 이름 대신 'Korean War Veterans Way'로 바뀌었다.
이날 명명식에 참석한 참전용사 팻 스칼파토(85) 씨는 "이미 반세기가 지난 한국전 참전을 두고 한인들이 계속 감동을 줘 고맙기 그지없다"고 말했다. 1953년 6월 수류탄 파편에 맞아 2주간 치료 후 복귀, 휴전일인 1953년 7월 27일엔 38선 인근에 있었다는 그는 15년 전부터 지역 중고생들을 대상으로 '잊을 수 없는 한국전쟁'이란 제목으로 강의를 하고 있다. 지난해엔 상반기 4000명, 하반기 2000명을 대상으로 강의했다. 5년 전까지는 차로 1시간30분 걸리는 웨스트포인트(육군사관학교)에 강의를 나갔지만 이제는 운전이 힘들어 그만뒀다고 했다.
전쟁 당시 동상에 걸려 지금도 고생하고 있다는 루이스 타이론(85) 씨는 "참전용사들의 한국사랑은 한인들이 생각하는 것 이상"이라며 "목숨 걸고 싸웠던 나라가 기적적으로 발전한 모습을 보면 요즘도 눈물이 난다"고 말했다.